‘5대 은행 주담대 잔액 감소세 ‘반짝’에 그쳐
이달 들어 2조원 증가…가계대출 ‘적신호’ 계속
고정금리 확대 방침에 대외적 요인까지 산적
“변동금리 차주들에 ‘금리 인상’ 부담 몰릴 것”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지난달 약 11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한 주요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이달 들어 다시금 급격히 늘고 있다. 시중은행의 주담대 금리가 최저 3%대 수준을 유지하며, 대출 수요를 자극한 영향이다. 가계대출 증가세 관리를 위한 자체적 대출금리 인상 가능성도 대두된다.
특히 변동형 차주들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변동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넉 달째 하락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고정금리 확대 방침이 강화되며, 변동금리 인상을 통한 대환 유도 필요성은 커졌다. 여기다 미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하락, 중동사태 등 대외적 요인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상승세도 나타나고 있다.
1년 만에 줄어든 5대 은행 주담대, 이달 들어 2조원↑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12일 기준 주담대 잔액은 537조8353억원으로 전월 말(536조307억원)과 비교해 약 1조8046억원(0.33%)가량 증가했다. 이로써 5대 은행 주담대 잔액은 올해만 약 7조9431억원 불어나며, 전반적인 증가세를 나타냈다.
지난달 5대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2월 말(537조964억원)과 비교해 1조657억원(0.19%) 줄어들며, 지난해 4월 이후 약 11개월 만에 감소세를 나타낸 바 있다. 하지만 이달 들어 이전과 비교해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약 10영업일 만에 2월 전체 상승액(2조7713억원)의 65%가량이 불어났다.
실제 부동산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주담대 수요는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최저 3%대에 머물러 있는 금리 수준의 영향이다. 약 1년 만에 나타난 가계대출 감소세 또한 ‘통계 착시’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많다. 기존 은행에서 공급하던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금융이 주택도시기금 자체 재원으로 공급되며, 은행 실적으로 집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은행 차원에서 가산금리 인상을 통해 공급 관리를 지속하고 있음에도, 증가세가 꺾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제 국민은행은 지난 2월 주담대 금리를 0.23%포인트 인상한 바 있다. 신한은행 또한 이달부터 주담대·전세대출 상품의 금리를 0.04~0.3%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은행권에서 추가적인 금리 조정을 단행해 주담대 증가폭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5대 은행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1.5~2% 선으로 제한해, 확대 추세를 조절하겠다는 방침을 금융당국에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주담대 증가세가 지속될 경우 지침을 이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 이달 12일 기준 주담대 잔액은 이미 지난해 말(529조8922억원)과 비교해 1.5%(7조9431억원) 늘어난 상태다.
“대외적 요인까지 금리 인상 압박” 주담대 변동금리 더 오른다
무엇보다 변동형 차주들에 대한 이자부담 압박이 거세질 가능성이 크다. 최근 금융당국은 새로운 기준을 적용한 고정금리 확대 방침을 내놓은 상태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일정 기간 후 변동형으로 전환되는 혼합형 주담대가 아닌, 5년 주기형(5년마다 금리 변동)과 순수고정금리 상품의 잔액 비중을 30%까지 늘려야 한다. 지난해 말 기준 5년 주기형 상품의 비중은 은행 평균 18% 수준이다.
은행권은 변동형 차주들에 대한 대환(대출 갈아타기) 유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혼합형 차주들의 경우 통상 5년의 긴 고정 기간 탓에 저금리를 적용받는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은행 고정형 주담대 평균금리(잔액 기준)는 3.68% 수준으로 변동형 주담대(4.77%)와 비교해 1%포인트 이상 낮다.
아울러 변동형 차주들의 경우 대부분 6개월마다 금리가 갱신된다. 이에 금리 인상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 은행권 관계자는 “신규 고객을 적극 유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고정금리 비중을 맞추려면 기존 고객의 대환을 유도하는 방법뿐”이라며 “금리 민감도가 높은 주담대 변동금리 수준을 조정해, 저금리 5년 주기형 상품으로 대환을 이끄는 방식이 가장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외적 요인들도 변동형 차주들에 ‘적신호’를 보이고 있다. 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신규취급액 코픽스 금리는 지난달 기준 3.59%로 전월(3.62%)과 비교해 0.04%포인트 줄어, 넉 달째 하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감소폭은 ▷1월 0.16%포인트 ▷2월 0.04%포인트 ▷3월 0.03%포인트 등으로 축소됐다. 이날 기준 5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3.9~5.98%로 고정금리(3.14~5.59%)와 비교해 높은 수준이다.
애초 올해 중으로 예상됐던 기준금리 인하 전망도 불확실한 상황이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기대치를 상회하면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전망 따르면 지난 10일 CPI 발표 직후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20% 밑으로 떨어진 상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또한 12일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코픽스도 이달을 기점으로 상승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하락에 이어 중동 분쟁에 따른 유가 상승 위험 등 채권금리(자금조달 비용) 인상 요소가 산적한 영향이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기준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4.6%대로 치솟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날 한국 국고채 금리 또한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