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음식 국가무형유산 등재

서울 진관사 사찰음식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서울 진관사 사찰음식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불교의 정신이 담긴 한국 사찰만의 절밥이 국가유산이 됐다. 국가유산청은 ‘사찰음식’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한다고 19일 밝혔다.

사찰음식은 단순한 채식을 넘어선다. ‘살아 있는 것을 해치지 않는다’는 불살생(不殺生) 원칙에 따라 육류와 생선은 물론 마늘·파·부추·달래·흥거 같은 오신채(五辛菜)도 쓰지 않는다. 자극은 덜어내고, 재료 본연의 맛과 계절의 흐름을 고요히 담아낸다. 절제와 생명 존중이라는 불교의 철학이 음식으로 스며든 결과다.

이러한 음식 문화는 승려들의 수행식과 발우공양으로 이어져 왔다. 사찰마다 전해 내려오는 조리법은 제각각이지만 그 중심에는 언제나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의 태도가 담겼다.

고려시대 ‘동국이상국집’, ‘조계진각국사어록’, ‘목은시고’ 같은 문헌에는 채식 만두와 산갓김치 같은 사찰음식의 흔적이 등장한다. 조선시대 ‘묵재일기’와 ‘산중일기’에 이르면 사찰이 두부와 메주 같은 장류와 저장식을 만들고, 사대부가와 곡식을 교환하던 모습도 그려진다. 사찰은 단지 수행의 공간이 아니라 지역 식문화의 거점이었다.

사찰음식은 불교가 전래된 이후 지금까지 오랜 시간 꾸준히 전승돼 왔다.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한 조리법, 지역에서 나는 식재료의 활용, 사찰이 자리한 땅의 향토성까지 고스란히 담기며, 한국만의 독창적인 음식 문화로 자리 잡았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통 조리법을 지키면서도 창의적인 해석을 더해, 생명 철학과 문화적 다양성을 더욱 확장해 나가고 있다.

사찰음식은 각 사찰의 공동체가 함께 전승해온 집단적 문화다. 이런 특성을 반영해 사찰음식은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따로 두지 않는 공동체형 종목으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학술연구와 전승 프로그램 등을 통해 사찰음식의 가치를 국민과 나누고, 전통문화의 뿌리를 굳건히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dsu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