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대선 TV토론’ 18일 시한 제시
“빠르면 다음주 전국위 소집 가능”
‘尹 판단’ 강조한 金과 온도 차
“金, 어물쩍 넘어갈 수 없다” 지적도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5/16/rcv.YNA.20250515.PYH2025051517360001300_P1.jpg)
[헤럴드경제=김진·주소현 기자]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빠르면 16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자진 탈당’을 요청할 계획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 문제는 주말까지 매듭지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며 윤 전 대통령의 결단을 설득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윤 전 대통령이 응하지 않을 경우 당헌·당규 개정을 통한 ‘당원권 정지’를 추진할 가능성도 열어놨다.
김 위원장은 이날 KBS라디오 인터뷰에서 “오늘 중으로 (윤 전 대통령에게) 연락을 취해서 말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라며 오는 18일까지 윤 전 대통령의 거취 문제를 마무리 짓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18일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포함해 주요 정당 주자들의 첫 번째 TV토론이 예정된 날로, 윤 전 대통령의 거취를 둘러싼 논란이 장기화할 경우 선거운동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란 당 안팎의 우려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탄핵의 강을 넘기 위해 대통령과 관련된 문제는 이미 답이 나와있다고 생각한다”라며 “헌법 정신을 존중하는 정당이고, 이 문제에 대해 주말까지 조속히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또 김 위원장은 “탈당 권고와 관계없이 당헌·당규로 제도화하는 방안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전날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여당과 대통령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당·정 협력 ▷당·통 분리 ▷사당화 금지 3대 원칙을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반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김 위원장은 3대 원칙 외에도 “가령 대법원에서 유죄 판단이나, 유죄 취지 파기환송을 받은 당원이나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단을 받은 당원은 당적을 3년 정도 제한하는 방안을 당헌·당규에 제도화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이 거취 결단을 조속히 내리지 않을 경우,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사실상 윤 전 대통령의 당원권을 강제로 정지하는 방안을 추진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김 위원장은 이날도 “지난 과오는 분명히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있었다”라며 “헌법 정신을 존중하는 의미를 담아 탈당, 출당에 관계없이 또 다른 제도화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내부적으로) 법률을 검토 중이고, 빨리 진행된다면 다음주 정도 의견 수렴 절차를 끝내서 전국위를 소집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의 거취 문제를 신속하게 정리하겠다는 김 위원장의 행보는 “대통령께서 판단할 문제”라는 김문수 후보의 입장과 대조적이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를 “김용태 위원장의 메시지에 대한 여론의 반응을 보면서, 후보가 따라가는 일종의 약속 대련이자 투트랙 전략”이라고 표현했다.
당내에선 김 위원장뿐만 아니라 김 후보가 직접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영남권의 한 초선 의원은 통화에서 “비대위원장의 메시지와 대선 후보의 메시지는 같지 않다”라며 “후보는 이야기를 안 하면서 어물쩍 넘어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내란의 구렁텅이에서 빠져나올 수 없는 환경에서 제대로 된 선거운동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안타까움이 많다”라며 “당이 내란 정당, 비상계엄 옹호 정당 이미지를 벗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soho0902@heraldcorp.com
addressh@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