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5% 미만 극소량’ 알코올은 음식 수준

카스 ‘레몬 스퀴즈 0.0’(왼쪽)과 ‘카스 0.0’ 제품 [오비맥주 제공]
카스 ‘레몬 스퀴즈 0.0’(왼쪽)과 ‘카스 0.0’ 제품 [오비맥주 제공]

[헤럴드경제=정석준 기자] 즐기면서 건강을 관리하는 ‘헬시 플레저’ 열풍과 맞물려 ‘논알코올’ 음료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 5월 말 ‘주류 면허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공포되면서 일반 식당에서도 판매할 수 있다.

논알코올과 무알코올은 엄연히 다른 제품이다. 논알코올은 0.05% 미만의 미량의 알코올이 검출되는 제품이다. 카스 0.0, 호가든 0.0, 하이네켄 0.0, 기네스 0.0 등이 논알코올 제품에 속한다. 무알코올은 알코올이 아예 없다. 하이트 제로, 클라우드 제로 등이 대표적이다.

알코올 함량의 차이는 제조방식에서 기인한다. ‘논알코올’은 맥주와 동일한 발효 및 제조과정을 거쳐 맥주를 만든 후 알코올 분리 공법을 통해 알코올을 제거한다. 극미량의 알코올, 보통 0.01~0.05%가 남는 이유다.

반면 무알코올은 탄산음료를 만드는 방식과 유사하다. 음료에 맥주와 비슷한 향을 첨가해 만든다. ‘맥주맛 음료’로 보면 된다. 하이트 제로와 클라우드 제로는 각 사의 음료법인 공장에서 생산 중이다.

알코올함량(ABV) 0.05% 미만 수준은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에도 들어간다. 된장, 간장, 고추장에도 미량의 알코올이 포함된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연구에 따르면 제조 방식과 주정 첨가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된장에는 0.45%, 간장에는 1.11%, 고추장에는 1.39%의 알코올이 검출됐다.

2016년에 독일 카이저 슬라우테른 공과 대학교 연구진들이 학술지에 발행한 ‘일반적인 식품에 들어 있는 알코올 함유량’을 조사한 논문에 따르면 잘 익은 바나나는 알코올함량(ABV)이 0.04%였다. 식빵은 0.1~0.3% 정도의 알코올이 들어있다. 알코올 반응을 걱정할 정도의 함유량이 아니라는 의미다.

다만 미성년자에게는 판매가 금지된다. 음료수이지만 ‘성인용 음료’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구매할 때도 성인 인증이 필요하다. 식당에서도 마찬가지다.

논알코올 음료 시장은 꾸준하게 성장 중이다. 시장조사 기업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논알코올 맥주시장 규모 또는 2021년 415억원에서 2023년 644억원으로 2년 만에 55.2% 성장했다. 2027년에는 946억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오비맥주도 신제품을 확대하고 있다. 작년에는 ‘카스 0.0’ 및 카스 ‘레몬 스퀴즈 0.0’ 병 제품을 출시했다.


mp1256@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