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서 층별 사무실 개인에 음료 배송서비스
승강기-로봇 연동 상용화 박차
![현대엘리베이터 임직원들이 승강기-로봇 연동 배달 서비스를 통해 음료를 받고 있다. [현대엘리베이터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3/14/news-p.v1.20250314.38b721f62636442792d8df75788041db_P1.jpg)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현대엘리베이터는 충주 본사 1층 카페에서 판매하는 음료와 간식 등을 로봇을 통해 배달하는 서비스를 정식 오픈했다고 14일 밝혔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앱을 이용해 원하는 상품을 주문하면 층별 사무실 각 개인의 자리에까지 로봇배송이 이뤄진다.
그동안 수평이동에 머물던 로봇배송의 한계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게 되면서 수직이동으로까지 확장된 것으로, 이번에 오픈한 로봇배송은 주문은 최대 2건·20잔의 음료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 2주간의 시험운행을 거쳐 이날 정식 개시했다.
현대엘리베이터 측은 한발 앞선 승강기-로봇 연동 기술력을 앞세워 서비스 상용화를 본격화한다는 구상이다. 이미 다수의 병원과 호텔, 은행 등에서 40여 대의 배송로봇이 현대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서비스 중이다.
현대엘리베이터와 다수의 건설사, 로봇 제조사들을 중심으로 업무협약 체결 등 제휴 사례도 늘고 있다. 실제 일부 분양현장에서는 현대엘리베이터와 기술제휴 협약을 통해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서 각 가정에까지 다양한 물품을 로봇배송하고 있다.
현대엘리베이터 관계자는 “수평 이동에 머물던 로봇배송의 한계가 수직이동으로 확장되기 위해서는 승강기와의 연동이 필수”라며 “현대엘리베이터의 승강기-로봇간 연동 기술은 이미 상용화 단계에 이른 만큼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 2022년 3월 로봇, 스마트기기 등 플랫폼과 엘리베이터를 연동할 수 있는 ‘오픈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공개하며 시장에 뛰어들었다.
오픈 API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돼 연동을 위한 추가 장비가 필요 없다. 또 이틀이면 별도 기계 없이 로봇 배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오픈 API를 적극 활용, 이미 60여 개의 로봇 제조사와의 플랫폼 계정 등록을 완료했다.
likehyo8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