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무려 30%’…조기 사망률 확 줄인다는 밥상? [식탐]
잇-랜식위원회 지구건강식단 이용, 대규모 연구
온실가스·조기 사망률 30% 감소 효과 재입증
“유연한 플렉시테리안으로 일상에서 적용 가능”
[123RF]

[헤럴드경제=육성연 기자] 지구를 위한 식단이 인류 건강에도 이로울 수 있다는 연구보고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지속가능한 식단으로 알려진 ‘PHD(지구건강식단)’가 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을 30% 감소시킨다는 논문이 발표돼 눈길을 끌었다. 이 연구는 학술지 미국 임상영양저널 최신호에 실렸다.

지구건강식단은 지난 2019년 저명한 스웨덴 민간단체 ‘잇-랜식위원회’(The EAT-Lancet Commission on Food, Planet, Health)가 지구와 인류를 위해 제안한 식단이다. 이 식단의 건강상 이점이 다른 연구진을 통해 추가로 입증된 것이다. 당시 잇-랜식위원회는 이 식단을 통해 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을 현재보다 ‘34%’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34%’와 이번 연구의 ‘30%’라는 수치는 주목할 만하다. 의학전문가들은 음식과 질병의 연관성을 입증한 과학적 연구에서 보통 20%가 넘는 수치는 연관성이 ‘크다’고 본다. 특히 이번 연구는 미국인 20만명을 30년간 추적 관찰한 ‘대규모 연구’에서 나온 수치다.

논문에 따르면 지구건강식단에 가장 부합한 식단 섭취 그룹은 이와 가장 거리가 먼 식습관 그룹보다 주요 질환으로 인한 조기 사망 위험이 30% 낮았다.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은 14%, 폐질환은 47%, 알츠하이머 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28% 낮았다.

온실가스 배출도 29% 적었다. 농경지 사용은 51%, 비료 사용 21%, 물 사용량은 13% 낮았다.

잇-랜식위원회가 제안한 지구건강식단 구성[ 잇-랜식위원회 보고서(2019) 한글버전 캡처]

효과가 큰 지구건강식단이라고 해서 고기와 유제품을 모두 배제하진 않는다. 연구를 이끈 월터 윌렛(Walter Willett) 미국 하버드 공중보건대학원 영양학 교수는 “지구건강식단을 시도할 때 좋아하는 고기를 아예 끊을 필요는 없다”며 플렉시테리언 식단(Flexitarian diet)과 같은 ‘유연성’을 강조했다.

플렉시테리언은 평소 식물성 식품을 추구하지만, 상황에 따라 동물성 식품을 먹는 식단이다. 예를 들어 주 2~3회 고기 섭취, 하루 1회 유제품 섭취 등의 방식이다. 이어 그는 “간단한 원리만 알면 지구건강식단을 국가별 전통 음식에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구건강식단은 기존보다 붉은고기와 유제품 섭취를 줄이면서 식물성 식품 위주로 음식을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 하기 쉬운 구성법은 일단 접시의 절반을 과일과 채소로 채운다. 나머지 절반은 통곡물, 식물성 단백질, 건강한 오일 등을 올리면 된다. 식물성 단백질로 콩류와 견과류를 풍부하게 먹고, 지방은 올리브유 등으로 불포화지방산을 섭취한다. 탄수화물은 현미, 귀리, 퀴노아, 보리 등 통곡물로 채운다. 과일주스, 청량음료, 디저트 등 가공식품은 줄인다.

gorgeou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