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부채 증가, 금융위기 확률 유의미하게 높인다”
[123rf]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한국은행이 기업부채 증가가 금융위기 가능성을 유의미하게 늘리고, 이는 상대적으로 더 큰 경제 위축을 야기한다는 내용의 외국 논문을 소개했다. 가계부채 뿐만 아니라 기업부채도 관리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3일 한은에 따르면 한은 경제연구원은 지난달 15일 빅토리아 이바시나 미국 하버드대 교수 등이 기업부채 확대 위험성에 대해 경고한 내용의 논문을 홈페이지를 통해 소개했다.

연구진이 1940~2014년 115개국의 연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금융위기 전후 대부분의 민간신용 확대와 수축은 기업부채가 견인했을 뿐 아니라 기업부채 증가는 금융위기 확률을 유의미하게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가계부채 증가가 선행된 금융위기보다 기업부채 증가가 선행된 금융위기일 때 경제 위축 정도도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은 이와 관련 "금융안정을 위한 모니터링과 건전성 규제 입안 시 기업부채도 가계부채 못지않게 중시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이 지난해부터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자 은행들이 가계대출 대신 기업대출을 늘리는 데 집중하는 상황에서 일종의 경고음을 울린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은은 지난달 28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 "지난해 4분기 말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100.6%로 3분기 말보다 1%포인트 낮아졌으나, 기업신용 비율은 124.3%로 0.2%포인트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부채 관리와 함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범위에 대한 적정성 검토와 개선 방안 마련을 통해 정책 유용성을 확보하려는 노력도 수반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