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 선언한 우리은행, 지난해 비이자이익 감소세 뚜렷
올해 비이자이익 및 비금융 사업 다각화에 총력 기울여
부수업무 실적 가시화…자산관리(WM) 역량 확대 지속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주요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중 만년 ‘4등’에 머무르고 있는 우리은행이 올해 ‘1등 은행’으로의 도약을 선언한 가운데, 지난해 유독 부진했던 비이자이익 관련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며 실적 상승의 기반을 닦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판매액이 적은 홍콩 ELS 사태를 기회로 삼아, 자산관리 사업 확대를 통한 수수료이익을 늘리겠다는 게 우리은행의 주요 전략이다.
우리은행, ‘1등 은행’ 목표 밝혀…비이자 사업 강화에 총력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이 지난해 거둔 비이자이익은 6740억원으로 전년(7390억원)과 비교해 8.8%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은행권의 전반적인 움직임과 반대되는 현상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은행의 비이자이익은 총 5조8000억원으로 전년(3조5000억원)과 비교해 68%가량 성장세를 보였다.
우리은행은 올해 실적 ‘1등 은행’ 자리에 오르겠다는 목표를 공표했다. 이에 비이자이익 확보를 가장 시급한 과제 중 하나로 선정하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심지어 4·10 총선에서 압승을 거둔 더불어민주당이 가계대출 금리 인하 등 공약을 내걸면서, 비이자이익 확대의 필요성은 더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은행은 우선 기존 은행 업무 외 부수업무 강화를 통해 사업 영역을 다각화한다는 입장이다. 실제 우리은행은 2022년 9월 부수업무로 승인받은 ‘원비즈플라자’ 개편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이는 입찰·계약·발주 등 공급망 관리 업무에 금융을 연계한 디지털 공급망 플랫폼으로, 최근 1차 고도화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다. 지난 2022년 말 5138명이었던 원비즈플라자 회원사는 지난 3월 말 1만사를 돌파했다. 우리은행은 플랫폼 강화를 통해 올해 또 다른 목표인 기업금융 강화와 시너지를 낼 계획이다. 또 다른 부수업무 사업으로 ‘알뜰폰’도 추진한다. 국민은행은 이르면 이달 내 알뜰폰 ‘KB리브엠’ 사업을 부수 업무로 신고할 방침이다. 신고가 수리될 경우 우리은행의 알뜰폰 사업 진출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알뜰폰 부수업무 승인이 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사업을 추진 준비 중인 상황”이라며 “향후 시장이 조금 더 확실해졌을 때 관련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전문인력을 채용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움직임이 나타난 것은 부수업무 규제개선 등 금산분리 완화 움직임이 나타나며, 향후 은행들의 사업 영역이 더 넓어질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나오면서다. 실제 지난 1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5대 시중은행장 등과 간담회를 갖고 “은행들이 변화와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부수·겸영업무 규제개선 등 금융제도를 과감히 개선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홍콩 ELS 기회될 수도” 자산관리에 역량 집중한 우리은행
아울러 우리은행은 최근 자산관리(WM) 브랜드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신탁부문에 초점을 맞추고 신탁·수수료이익을 통한 비이자이익 강화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고액자산가 전문 브랜드 ‘투체어스W’ 영업점을 기존 6개에서 20개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내놓기도 했다.
또 신입행원부터 예비PB 인력을 선발 및 육성해, 차세대 PB 육성에 나설 계획이다. 통상 은행권에서 특정 기간 영업점 업무 경력이 쌓인 은행원들을 선별해 PB를 양성하는 것과 다른 양상이다. 이같은 방침은 신입행원 시절부터 PB로 육성됐던 한국씨티은행 출신 PB들이 우리은행 내부에서 두각을 나타낸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특히 우리은행은 최근 논란이 된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판매액이 약 400억원으로 타 은행 대비 현저히 적다. 은행 내부에서는 타 은행과 비교해 현장의 자산관리 업무가 위축되지 않아, 되레 시장 입지를 넓힐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다만 홍콩 ELS 손실 영향으로 은행권 자산관리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독자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기는 힘들 것이라는 우려도 뒤따른다. 한 시중은행 PB센터 관계자는 “고객들이 은행 신탁 등에 거부감을 보이고, 상품 판매도 조심스러워지는 현상이 특정 은행들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