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통합형 휠 구동 시스템 개발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 세계 최초 공개

상용화 노력 진행형…“고급차 라인에 선 적용 예상”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이 구동되는 과정을 시연하는 모습. 서재근 기자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이 구동되는 과정을 시연하는 모습. 서재근 기자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PBV(목적기반모빌리티)는 물론 휠체어, 자전거, 배송로봇 등 다양한 모빌리티에 고객의 사용 목적에 따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종술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 수석연구위원)

현대자동차·기아가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기능 통합형 휠 구동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차량 구동에 필요한 부품을 휠 내부에 통합하는 방식으로 기존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구조의 구동 시스템을 고안하는 데 성공한 현대차·기아는 이 기술이 미래 모빌리티 환경에 혁신을 이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28일 서울 중구 명동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유니휠 테크데이’를 개최하고, 기존 차량 구동 시스템에 변화를 불러올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이하 유니휠)’을 공개했다.

유니휠은 기존 전기차 구동 시스템의 감속기, 드라이브 샤프트, 등속 조인트 기능을 모두 휠 안에 넣고 모터를 휠 가까이 배치한 새로운 구조다.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 전시물. 서재근 기자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 전시물. 서재근 기자

현대차·기아는 “기존 부품들이 차지하던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승차감 및 내구성도 향상할 수 있어 전동화 시대의 ‘게임 체인저’가 될 신기술”이라고 소개했다.

현대차·기아는 이날 행사에서 유니휠의 개발 배경 및 원리, 기술적 특장점을 발표와 영상을 통해 소개하고 별도의 전시 공간을 마련해 기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했다.

유니휠 개발 총괄을 맡은 박종술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 수석연구위원은 기술개발 배경과 관련 “기존 자동차의 구동 방식에서 벗어나 많은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을 고객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박종술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 수석연구위원이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에 관해 발표하는 모습. 서재근 기자
박종술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 수석연구위원이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에 관해 발표하는 모습. 서재근 기자

유니휠은 중앙의 선 기어(Sun Gear)와 좌우 각 4개의 피니언 기어(Pinion Geer), 그리고 가장 바깥쪽의 링 기어(Ring Gear) 등으로 이뤄진 특수한 유성기어 구조로 구성된다. 모터가 만들어 낸 동력이 선 기어로 전달되면 피니언 기어들이 맞물려 링 기어를 회전시키고, 링 기어는 휠과 연결되어 있어 최종적으로 휠까지 동력이 전달되는 원리다.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이 구동되는 모습. [현대차·기아 제공]
유니버설 휠 드라이브 시스템이 구동되는 모습. [현대차·기아 제공]

기존 내연기관 차량 및 전기차가 ‘엔진(모터)→감속기→드라이브샤프트→CV 조인트→휠’로 이어지는 구동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반면, 유니휠은 ‘모터→유니휠→휠’로 단계가 축소됐다.

기존 구동 시스템의 CV 조인트와 드라이브 샤프트, 감속기의 기능을 휠 안에 넣고, 동시에 휠 사이에 자리하던 모터를 소형화해 각 휠에 직결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확장한다. 다시 말해 드라이브샤프트와 CV 조인트가 차지했던 만큼의 공간을 고객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유니휠 시스템 구성 소개 이미지. [현대차·기아 제공]
유니휠 시스템 구성 소개 이미지. [현대차·기아 제공]
유니휠 제작 과정을 담은 소개 영상. [현대차·기아 제공]
유니휠 제작 과정을 담은 소개 영상. [현대차·기아 제공]

현대차·기아는 좌우 휠 사이 확장된 공간은 트렁크나 프렁크 등 추가 적재 공간 또는 배터리 탑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 수석 연구원은 “유니휠은 스케이트보드형 플랫폼 구축이 가능하고, 4인치부터 크게는 25인치 이상의 휠에 탑재할 수 있도록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승용차는 물론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PBV(목적기반모빌리티)는 물론 휠체어, 자전거, 배송로봇 등 다양한 모빌리티에 고객의 사용 목적에 따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유니휠의 또 다른 특징은 계단을 마치 에스컬레이터처럼 부드럽게 오를 수 있는 모빌리티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이날 현대차·기아는 유니휠을 통해 계단을 흔들림 없이 오르는 모빌리티의 개념을 소개했다.

유니휠이 장착된 하부 프레임 전시물. 서재근 기자
유니휠이 장착된 하부 프레임 전시물. 서재근 기자

현대차·기아는 향후 기어비 조정과 윤활 냉각 시스템 고도화 등 유니휠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 상용화에 성공하겠다는 목표다. 박 수석연구원은 “구체적인 상용화 시기를 거론하기에는 아직 이른 단계”라면서 “내년까지는 주요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전면보호커버를 개발, 완성체로서 완벽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니휠이 다양한 모빌리티에 활용될 수 있겠지만, 모터가 각 휠마다 장착되는 만큼 기능과 성능 면에서 장점이 크지만, 그만큼 가격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비쌀 수 있다”며 “아마 상용화가 된다면 고급차 라인에 먼저 적용되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유니휠과 관련된 특허 8건을 국내와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에 출원 및 등록했다.

[영상=윤병찬PD]

likehyo85@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