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연착륙 기대 속 美 국채금리 5% 돌파

은행채 상승에 수신금리 유치 경쟁까지

차주 부담 커질 듯

美 인플레·전쟁이 만든 채권 괴물…주담대 8% 공포 현실화되나[머니뭐니]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서정은·김광우 기자] 전세계 자산가격의 벤치마크가 되는 미국 국채금리가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연 5%를 돌파했다. 경제 연착륙과 긴축 기조 유지에 대한 기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는 중이다.

문제는 우리나라다. 미국 국채 금리가 오르면 그보다 신용도가 낮은 국내 시장 금리 역시 쫓아 오를 수 밖에 없다. 이미 한국 국채 금리도 연고점을 넘었다. 연 8%로 올라선 미 주담대 금리 수준이 곧 우리나라에서도 현실이 될 수 있다.

미국발 금리쇼크…주담대 8% 공포 현실화

美 인플레·전쟁이 만든 채권 괴물…주담대 8% 공포 현실화되나[머니뭐니]
미 국채 금리가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연 5.0% 선을 돌파했다. 19일 미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이날 오후 5시 직후(미 동부시간 기준) 연 5.001%로, 5% 선 위로 올라섰다. 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미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이날 오후 5시 기준(미 동부시간) 연 5.001%를 기록했다. 한국 국채 10년물도 19일 전 거래일 대비 7.5bp(1bp=0.01%포인트) 올라 4.362%를 기록했다. 20일 오전 하락세로 거래를 시작했지만, 미 국채 10년물이 5%를 찍은 만큼 지난해 고점인 4.5%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은행의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 금리도 덩달아 올랐다. 주담대 고정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 5년물(AAA) 금리는 8월 말 4.301%에서 지난 18일 4.717%로 0.4%포인트 상승했고 신용대출 금리 산정에 영향을 주는 은행채 6개월물(무보증·AAA) 금리도 같은 기간 3.820%에서 4.034%로 올랐다.

변동금리와 연동된 신규 취급액 기준 자금조달비용지수(COFIX·코픽스)도 3개월 만에 반등했다. 9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82%로 전월(3.66%)보다 0.16%포인트 올랐다. 올해 최고점이었던 1월 수준과 같다.

이에 따라 은행권 주담대 최고금리 또한 미국처럼 연 8%를 넘볼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국내 금융시장이 미국발 금리쇼크 외에도 금리 상승을 가리키고 있다. 은행권이 지난해 채권시장 경색으로 유치했던 고금리 예금 만기가 곧 돌아온다. 다시 재유치를 위한 수신금리 경쟁에 돌입하면 주담대 금리도 밀어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레고랜드 사태 후 발생했던 채권 만기도 도래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이를 고려해 열어놓은 은행채 발행도 금리를 자극할 수 있다. 채권 발행이 늘면 가격이 내려가면서 금리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주담대 최고금리 상단 8%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가계부채 규모가 1870조원을 넘보는 가운데, 대출 금리 상승은 가계 전반에 부담이 될 수 있다. 금리 상승이 본격화되기 1~2년 전 3억원을 연 3% 금리(30년 만기, 원리금균등 조건)로 빌린 경우 월 상환금은 126만4812원이었다. 하지만 대출금리가 연 7%로 오르면 월 상환금액은 199만5907원으로 뛴다. 이자 폭탄이 현실화될 수 있다.

美 인플레·전쟁이 만든 채권 과매도…불똥 튄 국내 경기 부담

美 인플레·전쟁이 만든 채권 괴물…주담대 8% 공포 현실화되나[머니뭐니]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9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뉴욕경제클럽 간담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이날 파월 의장은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높으며 경제 성장세가 현 상황보다 둔화돼야 물가 목표를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미국 국채수익률이 뛴 건 미국 경제 상황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미국 상무부가 지난 17일(현지시간) 발표한 바에 따르면 미국의 9월 소매판매가 전월대비 0.7% 증가했다. 이는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0.3%)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여기에 지속적인 개선 기대감까지 더해져 장기채를 중심으로 금리가 더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방문해 1000억달러 규모의 안보 패키지 예산을 의회에 요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것도 채권 시장을 자극했다.

미국과 경제 상황이 다른 우리나라는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당장 올해 잠재성장률(2.0%) 아래의 1%대 성장률을 바라보는 한국으로선 인플레이션 우려로 긴축에 나선 미국 통화정책을 따라잡기가 버겁다. 한국은행이 19일 6차례 연속 기준금리 동결에 나섰지만, 하룻밤 새 미국의 금리 상승으로 시장 금리 인상 우려는 더 커진 상황이다.

황수욱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단기적으로 높아진 금리가 주식 수익률뿐만 아니라 부동산, 한계기업 등에 미칠 우려가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불확실한 경제상황으로 금리를 올리지도 내리지도 못하는 가운데 벌어진 한미 금리차도 국내 금융시장 불안을 키울 수 있다.

최우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한미 금리 차에 따른 자본 유출 우려도 한계에 다다른 시점에 미 국채 금리가 지금과 같이 치솟을 경우 국내 채권시장도 같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가계부채 문제가 여전하긴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커졌기 때문에, 대출금리 변동 또한 피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