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월까지 ‘시민체험운항’ 실시

통합환승시스템도 마무리 단계… 6월 중 완료

9월부터 정식운항… 11월까지 선박 12대 인도완료

한강버스. [서울시 제공]
한강버스.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서울시는 오는 9월 정식운항을 앞둔 ‘한강버스’의 품질개선과 안전성 확인을 위해 6월부터 석 달간 ‘시민체험운항’을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시민체험운항은 6월 2일부터 8월 24일까지 분야별 점검단을 구성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우선 6월 첫 시민체험단은 선박‧교통공학 학계, 해양레저 종사자, 시‧산하기관 공무원 등 한강버스 운항과 기술적인 분야에 대해 제언 할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운항 안정성, 승하선 환경 등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을 중점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7월~8월에는 가장 많은 이용이 예상되는 선착장 주변 기업 직장인을 대상으로 출퇴근시간 체험운항이 이어진다. 정식운항은 9월부터다.

예상 공정보다 늦어지고 있는 선박도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시운전 중인 2대(하이브리드)는 체험 운항에 투입되고 이후 6월(4척), 7월(2척), 9월(2척), 11월(2척)까지 총 12대가 차례로 운항을 시작한다. 선박의 배터리 충전시설을 포함한 선박 정박과 정비 등을 위한 도선장은 한강버스 시종점인 마곡과 잠실 선착장 인근에 각각 6월까지 설치할 예정이다.

운항시간은 출근시간대는 오전 7시 부터 오전 9시까지다. 퇴근시간 운항되는 오후 5시~오후 7시30분이다. 운항간격은 15분이다. 테스트운행결과 잠실~여의도 구간은 약 34분이 소요됐다. 시는 선박 인도 일정, 체험운항을 통한 상황별 운항 속도, 운항인력 숙련도, 선착장 접안시간, 선박 배터리 충전 및 소모 시간 등을 면밀하게 검토해 정식운항 전 배차간격과 운항시간을 확정할 계획이다.

한강버스 여의도 선착장. [서울시 제공]
한강버스 여의도 선착장. [서울시 제공]

현재 조성이 완료된 ‘잠실’과 ‘여의도’ 선착장은 5월 말 일부 편의시설 운영을 시작하며 8월 중 카페 등 입점이 완료된다. 마곡‧망원‧압구정‧옥수‧뚝섬 등 나머지 선착장 5곳은 이달 말까지 건축공사 마무리 후 6월부터 순차적으로 영업을 개시한다.

또 선착장 접근성 개선을 위해 ‘마곡선착장’ 인근에 버스 노선을 신설(1개)했고, 망원‧압구정‧잠실 선착장은 각각 2개 버스 노선을 조정했다. 모든 선착장 주변에 따릉이 15대~30대와 거치대 배치도 완료했다.

정식운항 전까지는 망원선착장에 출퇴근 맞춤(다람쥐)버스 도입, 마곡·압구정·잠실 선착장에는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버스‧지하철과의 환승 체계도 손본다. 시는 지난 1월 인천·경기·코레일 등 관계기관과 협의 후, 시스템 개발에 착수해 이달 23일 완료할 예정이다. 테스트 후 환승 시스템은 다음 달 28일부터 정식 가동된다.

교통카드 탑승 게이트, 티머니 단말기 등은 현재 잠실과 여의도선착장에 설치했고 나머지 선착장 5곳도 이달 말까지 끝낸다. ‘카카오맵’, ‘네이버지도’ 등 연계를 위한 실시간 경로 탐색 및 위치정보 서비스도 개발 완료 후 테스트 중이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한강버스 정식운항을 위한 사전 인프라 구축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전문가는 물론 시민, 관광객 등 다양한 탑승객을 중심으로 한 체험운항은 한강버스의 새로운 정체성과 신뢰 형성에 기여하고, 9월 정식운항 전 이용자 중심의 검증과정으로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강버스 여의도 선착장 내부. [서울시 제공]
한강버스 여의도 선착장 내부. [서울시 제공]

coo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