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인프라 시설 공격 중단”

푸틴 ‘30일 전면 휴전’ 거부 의사

젤렌스키 “트럼프와 대화 원해”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중재에 나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18일(현지시간) 90분간 전화회담을 갖고 에너지·인프라 시설에 대한 상호 공격을 30일간 중단하는 부분 휴전에 합의했다. 당초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합의했던 ‘30일 전면 휴전안’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일단 ‘찬성’의 뜻을 밝혀 3년 넘게 이어진 전쟁이 새 국면을 맞았다. 다만 푸틴 대통령이 미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중단을 요구해 향후 휴전 협상에 최대변수가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6면

백악관은 1시간30분간 이어진 전화통화와 관련한 보도자료에서 “두 정상은 평화를 향한 움직임이 에너지와 인프라 휴전으로 시작하게 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며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 이행과 전면적 휴전 및 영구 평화에 관한 기술적인 협상을 중동에서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같은날 크렘린궁도 트럼프 대통령은 30일간 에너지 및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격을 서로 중단할 것을 제안했고, 푸틴 대통령이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즉시 군에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 중단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제안한 ‘30일간 전면 휴전안’에 대해 휴전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문제와 우크라이나의 동원 및 재무장 가능성에 대한 우려 등 문제가 있다는 점을 거론했다고 크렘린궁은 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부분 휴전안에 대해 일단 긍정 반응을 보였다. 그는 “에너지 및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자는 제안을 찬성한다”면서도 “러시아가 (미·러의 휴전 제안을) 지킨다면 우리도 그럴 것이다. 미국은 보증인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미·러 정상 간 전화통화 내용에 관한 세부 사항을 듣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하기를 원한다”고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우리의 파트너들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 중단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며 지원이 계속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날 두 정상간 통화는 지난달 12일에 이어 두 1개월여 만에 이뤄졌다. 김영철 기자


yckim6452@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