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사퇴 요구 거절…제 임기는 총선 이후까지”

尹-韓 갈등에 당황한 與 “또 친윤 당권 개입 자충수”

김경률 사천 우려에 김건희 리스크 겹쳐 불똥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한 위원장은 전날 대통령실의 사퇴를 요구에 "국민 보고 나선 길, 할 일을 하겠다"며 사퇴를 거부했다. 이상섭 기자

[헤럴드경제=김진·신현주 기자] 대통령실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총선을 80일 남기고 정면 충돌했다. ‘수직 관계’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당정 관계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던 윤석열 대통령과 당권을 거머지며 단숨에 유력 대선주자 자리를 꿰찬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사이에 ‘힘 겨루기’ 양상이다.

여권의 현재 권력과 미래 권력간 균열은 이른바 ‘김건희 리스크’에 대한 한 위원장의 입장 변화가 윤 대통령의 역린을 건드렸다는 해석이 나온다. 서울 마포을 출마를 선언한 김경율 비대위원과 관련해 불편한 심기를 내비친 대통령실이 급기야 한 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한 위원장이 이를 공개 거부하면서 대통령실과 한 위원장의 대립각이 세워졌다는 것이다. 총선을 앞두고 야권이 부각시키는 ‘정권 심판’ 프레임에 맞서 힘을 합쳐야 할 집권 세력이 분열하는 모습에 당안팎의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한 위원장은 22일 국회 출근길에서 대통령실의 당무개입을 지적하는 취재진 질문에 “평가는 제가 하지 않겠다”며 “제가 사퇴 요구를 거절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말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가 실제 있었다는 것을 사실상 인정하는 발언인 셈이다.

이어 그는 ‘총선 때까지 비대위원장 임기를 완주할 것인가’란 질문에 “제 임기는 총선 이후까지 이어지는 걸로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대통령실이 시사한 비대위원장 사퇴론을 일축한 것이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상 비대위원장은 당대표와 달리 자진사퇴를 하지 않는 한 강제 교체가 어렵다.

한 위원장의 발언을 놓고 여권에서는 “약속대련이 아닌 것 같다”는 당혹스러운 반응이 쏟아졌다. 앞서 여권에서는 대통령실과 한 위원장의 갈등이 당정 간 사전 공감대 속에 이뤄졌을 가능성을 놓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준석 전 대표도 전날 페이스북에서 “서로 다른 팀인 척 해서 이 난국을 돌파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 위원장이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를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당무개입 논란으로도 번질 수 있다”며 “약속대련의 수위를 한참 넘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과 한동훈 비대위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된 배경에는 ‘김건희 리스크’가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김경율 비대위원을 시작으로 안철수·하태경 의원,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등 수도권 출마자들이 김 여사의 명품백 의혹 등에 대한 대통령실의 입장 표명을 요구했고, 한 위원장도 “국민이 걱정할 부분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국민의 눈높이에서 생각할 문제”라며 전향적 입장을 내놨다. 이는 명품백 의혹을 ‘몰카 공작’이라 규정한 기존 지도부 입장과 거리가 있다. 실제 이달 초 신년인사회까지만 해도 한 위원장을 호평했던 대통령실 내부 분위기는 2주 사이 급속도로 냉랭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대통령실이 사천(私薦) 우려를 제기한 김 위원은 김 여사를 ‘마리 앙투아네트’에 비교해 논란을 부른 인물이다.

이번 사태의 발단에 이관섭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등장했다는 점도 주목된다. 당정 간 소통은 통상 정무수석이 담당하는데, 대통령실 2인자 비서실장이 ‘직접’ 나섰다는 점에서 윤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이 정치적으로 ‘결별’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양측은 이에 대한 추가언급을 자제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에 열릴 예정이었던 5번째 토론회에 불참했다. 한 위원장이 공개적으로 사퇴를 거부한 것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 네번째, 상생의 금융, 기회의 사다리 확대'에서 마무리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

한 위원장은 이날 ‘당정 간 신뢰가 깨진 것 아니냐’는 질문에 “여러 시각이 있지만 당은 당의 일을 하는 것이고 정부는 정부의 일은 하는 것”이라며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답했다.

당내에서는 친윤계 의원들 일부가 ‘무리수’를 던졌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난해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궐위부터 김기현 전 대표 자진 사퇴까지 친윤계가 주도한 가운데 취임 한 달밖에 되지 않은 한 위원장마저 끌어내리려고 한 것은 ‘자충수’라는 비판이다. 특히 ‘김건희 리스크’ 논란의 핵심은 한 위원장의 반응이 아니라 대통령실의 침묵이라는 것이다.

국민의힘 지도부 관계자는 “오는 25일 본회의 최대 안건 중 하나가 ‘김건희 특검법’ 재표결 여부인데 당정 간 갈등으로 민주당에게 공격 빌미를 줄 필요가 있었나 싶다”며 “당정 관계를 개선하겠다고 비대위가 출범했는데 윤 대통령이 국민의힘을 여전히 아래로 보고 있다는 것을 인정한 꼴 아니냐. 국민들 입장에서 정부여당을 뭐라고 보겠냐”고 했다.

총선을 코앞에 둔 상황에서 이번 갈등을 신속히 수습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표면상 갈등이지만 빨리 수습하시라. 총선이 80일밖에 남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 초선 의원은 통화에서 “4월까지 대통령실과 싸우면 우리 다 진다”며 “지금은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엄기홍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통화에서 “한 위원장은 정치 생명을 위해 반드시 총선에서 이겨야 하고, 이를 위해선 김건희 리스크를 극복해야만 한다”며 “권력은 둘로 나눌 수 없다. 총선 결과와 관계 없이 조기 레임덕 사태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