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채택하는 완성차 브랜드가 급속도로 늘면서 국내 양극재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내 기업들도 LFP 시장에 뒤늦게 뛰어들겠지만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
장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18일 보고서를 통해 "LFP 시장 확대가 불가피한데 한국 업체들이 단기간에 LFP 제품의 양산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하이니켈에 집중된 한국 양극재의 지나친 프리미엄은 유지되기 힘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들어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LFP를 속속 채택하는 분위기다. 중국 회사들이 세계 시장의 90% 이상을 장악한 차량용 LFP 배터리는 테슬라를 시작으로 현대자동차,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등이 사용하며 입지가 빠르게 늘고 있다. 국내 2차전지 기업들도 LFP에 대응할 수 있는 중저가 제품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이와 관련, 장 연구원은 "전기차 시장에서 LFP의 확대는 완성차 업체들이 단순히 중국과 가깝기 때문은 아니라 경제적 이득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지역별 신차 판매 대비 중소형 차량 비중을 감안할 때 LFP 보급 비중이 현저히 낮은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완성차 업체들은 LFP 탑재 차량을 늘리고 싶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기업들이 단기간에 LFP 제품 양산 경쟁력을 갖추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장 연구원은 "삼원계 양극재는 니켈 비중을 높이면서 에너지 밀도 차별화가 가능하나 LFP 시장에 뒤늦게 들어가 비용 경쟁력을 확보하기는 힘들 수 있다"고 봤다.
국내 기업들의 대응 전략에 대해선 "한국 양극재 업체들 중에서는 LFP를 파일럿 단계로 상용 준비에 나서면서도 (에코프로비엠) 저가 전기차 시장 경쟁은 피하고 중가 시장에서 망간계 제품으로 점유율 방어를 고민하거나 탄산리튬에 의존하지 않고 인산리튬을 통한 LFP 개발(포스코퓨처엠) 시도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양극재 투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됐다. 전 연구원은 "글로벌 양극재 시장에서 현재의 삼원계 비중이 감소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하이니켈 삼원계 중심의 대규모 공격적인 캐파는 증가하고 이전 삼원계의 시장 지배력이 유지된다고 가정한다면 프리미엄은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이어 "LFP 제조에 직접 뛰어들거나 망간리치 등으로 시장 방어 등의 대응 전략을 제시했지만 양산성과 LFP 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성능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인하는 데까지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