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대출금리…기준금리 인상에도 역행
“언제 대출 받아야 돼”…금융소비자들 혼란만 계속
전문가들 “기준금리 더 올라도 금리 인하세 계속될 것”
대출 필요하다면 ‘단기 변동금리’ 선택 추천해
대출금리·주택가격 하락에…‘내 집 마련’은 잠시 뒤로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 30대 직장인 A씨는 지난해 말 한 시중은행서 6% 중반대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했다. 그런데 이달 초 해당 은행서 금리를 추가 감면한다는 소식이 들렸다. A씨는 곧바로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는지 문의했지만 “기존 고객은 해당되지 않는다”는 답이 돌아왔다. 대환 시 중도상환수수료를 생각하면 기존 대출을 유지하는 게 더 낫다는 판단이 들었지만, 어쩐지 손해 본 기분을 감출 수는 없었다.
최근 은행권 대출금리가 예측할 수 없이 요동치며, 소비자들의 혼란만 커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번 대출금리 인하세를 시작으로, 당분간 인상 압박이 잠잠할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인한 가산금리 인하,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등 당근책이 계속될 것이라는 확증은 없기 때문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대출금리 인하 추세에 더 큰 무게를 두고 대출 상품을 선택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출금리 인하세 본격화?…향후 은행권 대출금리 재조정 가능성도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기준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4.69~7.36%로 약 일주일 만에 상·하단이 각각 0.75%포인트(p), 0.39%p 하락했다. 이렇듯 최고 8%대를 돌파할 정도로 상승세를 지속하던 대출금리는 최근 기준금리 인상 결정에도 불구하고 하락 기조를 보였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을 선반영한 시장금리의 안정과 금융당국의 대출금리 인하 압박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문제는 소비자들의 혼란이다. 올해도 기준금리 인상이 계속될 것이라는 소식에 부랴부랴 대출을 받았다가, 되레 낮아지는 대출금리에 머리를 싸맨 이들이 적지 않다. 그렇다고 무작정 대출을 미루거나 단기 변동금리를 택하기도 쉽지 않다. 추후 기준금리 인상폭이 예상치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금융권에서는 현재 3.5%인 기준금리가 0.25%p가량 추가 인상되더라도, 대출금리 상승 압박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조만간 금리 인하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힘을 얻으면서 채권시장은 기준금리 인상에 역행했다. 이에 다수 대출금리의 산정 기준인 은행채 금리(AAA, 1년물) 또한 지난해 11월 5%대를 넘어선 뒤, 꾸준히 하락해 현재 3%대까지 내려앉았다.
그렇다고 안심할 수는 없다. 최근 대출금리 인하세를 견인한 가장 큰 요인은 금융당국의 대출금리 인하 압박이었다. 주요 시중은행들은 가산금리를 낮추는 방식으로 금융당국의 요구에 응답한 탓이다. 그러나 가산금리 인하 조치가 제자리로 돌아올 가능성은 여전하다. 여전한 고금리와 경기침체에 따른 부실 우려가 가시화되면, 은행권에서는 수익성을 위해 가산금리 조정을 단행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에서는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한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등의 혜택을 제시하며, 금리 인하에 대비하라는 신호를 주고 있다. 그러나 은행들이 ‘알짜배기’ 수수료 이익을 언제까지 포기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2018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약 5년간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벌어들인 중도상환수수료 이익은 약 1조1888억원에 달한다.
“대출금리 반등은 힘들 것”…변동금리 선택하고, ‘내 집 마련’은 천천히
다만 전문가들 다수는 약간의 변동이 있더라도, 대출금리 인하 흐름은 꺾이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대출을 미룰 수 없다면, 금리 인하를 대비할 수 있는 변동금리 위주의 대출 상품을 선택할 것을 조언했다.
정성진 국민은행 강남스타PB센터 부센터장은 “대출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고정금리보다는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며 “변동금리가 다소 높을 수 있고, 약간의 금리 인상이 있을 수 있지만, 금리 인하 기조가 강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변동금리의 혜택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수연 우리은행 TCE강남센터 PB팀장 또한 “향후 금리 인하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3·6개월 단위의 변동금리를 추천한다”며 “주담대의 경우도 지난해 말까지는 고정금리가 유효했다면, 이제는 소폭의 기준금리 인상이 대출금리에 영향을 거의 끼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돼 상황이 바뀌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여유가 된다면 주택 구입 시기는 다소 늦추는 게 합리적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유소연 하나은행 영업1부 골드PB부장은 “부동산 매매 가격이 빠지고 있고, 거래량도 회복 추세가 보이지 않고 있다”며 “당장 실거주가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주택가격 및 대출금리 인하세를 조금 더 기다렸다 취급하는 게 나은 판단”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