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부침과 코로나19에 서울·경기 공실 급증
강남 신사역 소규모 상가 공실률 0%에서 7.7%로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 불과 4년 전만 해도 빈 점포가 없었던 서울 강남 신사역과 성북 성신여대 소형 상가에 공실이 넘쳤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서울 및 경기 주요 지역 상가 공실률에 그대로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상가 공실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2분기 평균 6.9%였던 서울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올해 2분기 9.5%로 올라갔다.
골목상권 자영업자들이 주로 장사를 하는 소규모 상가 공실률 역시 같은 기간 2.4%에서 6.5%로 평균 2.7배 늘었다.
경기도도 마찬가지다. 경기 지역 중대형 상가공실률은 이 기간 6.3%에서 10.2%로,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3.1%에서 4.0%로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도심지역 중대형 상가 평균 공실률은 2017년 2분기 4.4%에서 올해 2분기 15.2%로 3.5배나 늘었다. 광화문의 경우 12.8배(1.8%→23%), 명동은 9.3배(4%→37.3%), 남대문 5배(2.5%→12.6%) 등이다.
서울 강남지역 중대형 상가 사정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강남지역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80%(6.4%→11.4%)가 증가했다. 공실 자체를 찾아보기 힘들었던 논현역에 1%에서 19.1%로 19.1배 증가했고, 청담은 5.4배(3.4%→18.3%), 강남대로 3.2배(3%→9.5%)로 대폭 늘었다.
강북지역 중대형 상가 공실률도 신촌 및 이대가 3.1배(4.2%→13.2%), 경희대가 4.6배(0.5%→2.3%), 불광역이 2.9배(3.8%→11.1%)로 껑충 뛰었다.
서울 소규모 상가 공실률 평균은 2.7배(2.4%→6.5%)나 늘었다. 도심지역의 경우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2.8배(2.9%→8.2%)가 늘었다. 특히 명동의 경우 2017년 2분기만 해도 공실률이 ‘0%’였지만, 지난 2분기에는 43.3%까지 늘었다. 명동 점포 10개 중 4개 이상이 텅텅비었다는 의미다. 이태원 역시 0%에서 31.9%로 공실률이 증가했다.
강남지역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도 같은 기간 1.2%에서 2%로 증가했다. 특히 2017년 2분기만 해도 공실이 없었던 신사역은 7.7%까지 공실로 남았다. 테헤란로 역시 1.8%에서 5.3%로 늘었다.
청년 유동인구가 많은 신촌 및 이대의 소규모상가 공실률은 역시 0%에서 7.2%로 늘었고, 홍대와 합정은 3.7%에서 22.6%로 폭증했다. 성신여대와 목동, 오류 등 2017년 2분기 0%의 공실률을 기록했던 지역들 역시 이제는 16.3%, 10.6%, 9.4%의 소규모 상가가 남아돌았다.
경기도도 마찬가지다. 중대형 상가, 소규모 상가 모두 2017년 2분기 0%였던 평택역 주변 공실률은 지난 2분기 각각 8.3%와 5.1%로 늘었다. 탄현역 주변 중대형 상가 역시 0%에서 7.1%로 공실이 증가했다. 또 수원 팔달문로터리 주변 소규모 상가도 0%에서 4.6%, 병점역도 0%에서 11.2%로 없던 공실이 생겨났다.
송석준 의원은 “정부는 상가공실률 증가를 두고 ‘일시적 현상이다, 높은 차임 때문이다, 코로나 때문이다’라는 변명을 해왔다”며 “하지만 문재인 정부 4년간 중소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제정책의 실패라고 보는 것이 옳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금이라도 규제 일변도의 반시장정책과 공공만능주의 환상을 버려야 대한민국 경제의 허리인 서민경제가 되살아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