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최준선 기자] “김치의 기원은 한국이 맞겠지? 확신이 안 서는데…”
세계 최대 검색사이트 구글(Google)이 김치의 기원에 대한 검색 결과를 안내하면서 오락가락하고 있다. 가장 적확한 답변을 별도의 상자로 구별해 안내할 때는 김치의 기원을 한국이라고 소개하는 링크를 띄우지만, 구글 자체적으로 검색 결과를 보여줄 때에는 중국으로 안내했다. 한국 네티즌들의 반발 이후 알고리즘을 수정했지만, 적극적으로 ‘김치는 한국 것’이라고 못 박는 데에는 주저하는 모습이다.
5일 구글에 ‘kimchi origin country’를 검색하면 영어판과 한국어판 모두 김치의 기원이 한국이라고 설명하는 페이지를 요약해 최상단에 띄운다. 영어판의 경우 ‘사이언스다이렉트(Science Direct)’라는 사이트에 게재된 ‘한국 고유의 발효채소를 대표하는 김치의 유래에 대한 논의’라는 제목의 기사와, 기사 속 “김치는 한국의 고유하고 전통적인 발효음식이다”라는 설명을 가장 먼저 보여준다. 한국어판은 영국 BBC의 ‘김치는 어떻게 수십년 간의 갈등을 다시 일으켰나’라는 기사 중 “김치는 3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라는 문장을 안내하고 있다.
구글 검색 시 이처럼 별도 상자 안에 관련 설명을 띄우는 것을 ‘추천 스니펫’이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웹 검색 결과를 토대로 하되, 해당 페이지가 특정 검색 요청에 적확한지를 구글의 알고리즘이 검증한다. 해당 내용이 폭력적인 콘텐츠를 포함하는 등 구글의 정책과 맞지 않거나, 혹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경우엔 신고 접수 후 알고리즘을 수정한다. 추천 스니펫만 보면 구글의 알고리즘은 김치의 기원이 한국이라는 점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는 듯하다.
구글은 웹페이지 내 관련 설명을 추천 스니펫으로 띄우는 대신 직접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기도 한다. 구글은 이를 ‘지식그래프’라고 명명했다. 예컨대 ‘에펠탑의 높이’를 검색하면, 관련 답변이 담긴 웹페이지를 상단에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300m’라는 정보를 제공한다.
구글의 지식그래프에도 김치의 기원이 한국으로 등록돼 있을까. 최근까지 구글 영어판은 김치의 기원을 ‘where is kimchi from’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할 때 관련 링크가 아닌 직접적인 답변을 띄웠다. 하지만 그 결과는 한국이 아니라 중국이었다. 한국은 ‘사람이 함께 찾아보는 것’ 리스트에 포함돼 있을 뿐이었다.
구글의 검색 오류를 발견한 시민단체인 반크가 구글에 꾸준히 항의 메일을 보냈고, 결국 구글은 5일 김치의 기원을 중국으로 설명하는 지식그래프를 삭제했다. 현재는 같은 질문으로 검색할 시 ‘where’이라는 단어 때문인지 김치가 상호에 포함된 식당 몇 군데를 안내하고 있다. 반크 측이 “삭제는 꼼수에 불과하다. 지식그래프를 ‘Place of Origin : Korea’로 바꿔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같은 적극적인 수정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구글 알고리즘이 추천 스니펫을 통해 안내한 BBC의 기사를 참고할 만하다. 기사는 지난해 12월 중순 작성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글로 시작한다. “유명한 절임음식을 꼽아보면, 독일인은 자워크라우트, 인도인은 아차르, 한국인은 김치를 먹는다. 얼얼한 발효음식은 한국의 민족 음식으로, 유네스코가 한국 정체성을 재확인하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고 있고, 한국인의 끼니마다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다. 2008년 한국이 첫 우주인이 우주로 향할 때 김치를 함께 보내기도 했다.”
기사는 ‘쓰촨의 음식들’의 저자인 중국 요리 전문가 푸샤 던롭(Fuchsia Dunlop)의 코멘트도 담고 있다. 던롭은 김치와 관련한 한중 갈등에 대해 “중국은 ‘중국인이 처음’이라고 얘기하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하지만 그렇게 받아들이기에는 복잡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 국제표준화기구(ISO)에 김치 제조법으로 인가를 받은 쓰촨의 염장채소 음식 ‘파오차이’에 대해 설명하면서 “파오차이는 중국의 훌륭한 전통이지만 쓰촨에서만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