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를 사용해 제작함]
[챗GPT를 사용해 제작함]

[헤럴드경제=민성기 기자] 일부 스포츠 시설과 카페에서 이른바 ‘노시니어존’(No Senior Zone·노인 출입 금지)을 운영하며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노인들에 대한 차별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헤럴드경제가 지난 7일부터 12일까지 자사 홈페이지를 방문한 독자들을 대상으로 ‘노인 1000만 시대, ’노시니어존‘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은?’이란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325명)의 절반이 넘는 59.08%(192명)가 ‘나이로 구분짓는 건 차별이라 없애야 한다’고 응답해 ‘노시니어존’을 강하게 반대했다.

이어 23.69%(77명)는 ‘이해는 가지만 차별이라는 느낌이 들어 고민된다’며 ‘노시니어존’에 일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차별의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반면 17.23%(56명)는 ‘매장 분위기와 안전을 위해 있으면 좋겠다’며 ‘노시니어존’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래픽=박희원OP]
[그래픽=박희원OP]

업주들은 ‘안전사고 우려’, ‘진상 손님’ 출입 제한 등을 이유로 ‘노시니어존’을 운영하고 있지만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차별로 이어질 수 있단 지적이 잇따른다.

그렇다면 늘어나는 ‘노시니어존’은 바람직한 현상일까.

속속 등장하는 ‘노시니어존’…업주들의 입장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업주들이 ‘노시니어존’을 운영하는 이유는 안전사고 혹은 시설 내 분위기 등을 위해서다.

최근 서울 강동구의 한 헬스장은 고령층과 한 공간에서 운동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민원이 제기되자 “젊은 분들에게 인사, 대화, 선물, 부탁, 칭찬 등 하지 마세요”라는 공지문을 게시해 논란이 됐다.

70세 이상은 회원으로 받지 않는 서울 영등포구 한 헬스장 업주는 한 매체에 “회원이 운동 중 다쳐서 보험 처리한 10건 중 8건이 나이 많은 분들이었다”며 불가피한 조치임을 주장했다.

지난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한 카페 출입문에 붙은 ‘노시니어존’(60세 이상 어르신 출입 제한) 사진이 올라 와 시선을 끌었다.

해당 카페 측은 일부 노인 손님이 젊은 손님에게 성희롱 발언을 한 것을 계기로 ‘노시니어존’을 도입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또 한 프랜차이즈 카페에서는 매장에 앉아 있던 노인 손님에게 점주가 ‘젊은 고객들이 안 오고 있다’며 나가 달라는 취지의 쪽지를 건넨 사실이 알려져 비판을 받았다.

거세지는 인권차별 논란…국가인권위의 판단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10월 스포츠시설이 만 65세 이상 고령자의 회원 가입을 거절하는 것은 인권 차별이라는 국가인권위원회의 판단이 나왔다.

인권위에 따르면 서울에 있는 한 복합 스포츠시설은 지난해 1월 만 68세인 A씨가 회원 가입을 신청하자 만 65세 이상이라는 이유로 거절했다. 이에 A씨는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해당 스포츠시설 측은 “수영장이나 헬스장에 안전요원을 배치하고 있지만 고령의 회원들이 미끄러지거나 부딪혀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가 나면 즉각 대응이 어려워 회원 가입 나이를 제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인권위는 “스포츠시설 내 안전사고 발생률이 반드시 나이에 비례한다고 볼 수 없으며 만 65세 이상을 일률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판단했다.

인권위 관계자는 “이런 일률적인 이용 제한은 일반 시민에게 고령자가 병에 취약하거나 체력이 약하고, 부주의나 건강상 문제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부정적 인식을 확산할 수 있다”며 “결과적으로 상업시설 등에서 노년 인구의 일률적 배제를 정당화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인권위는 해당 스포츠시설 측에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권고했다.


min3654@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