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교사노동조합연맹·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단체 회원들이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연합]
지난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교사노동조합연맹·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단체 회원들이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교사들의 교직 만족도가 5점 만점에 2.9점 수준이라는 조사가 나왔다. 교사 10명 중 6명은 최근 1년 간 이직이나 사직을 고민했다고 했다.

14일 교사노동조합연맹이 스승의 날을 맞아 지난달 23일부터 5월 7일까지 전국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사 8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교직 생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2.9점에 그쳤다. 교직 생활에 ‘불만족한다’는 응답은 32.3%로 세 명 중 한 명 꼴이었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32.7%로, 서이초 사건이 발생한 2023년 설문 조사(13.2%)에 비해 크게 늘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교사 절반 이상(58.0%)은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했다고 답했다. 고민한 이유(복수응답 가능)로는 ‘교권 침해 및 과도한 민원’(77.5%)이 가장 많았고, ‘낮은 급여’(57.6%), ‘과도한 업무’(27.2%)이 뒤를 이었다.

교사라는 직업이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는 답변율이 64.9%로 ‘그렇다’(8.9%)보다 현저히 높았다.

최근 1년간 교사 56.7%가 학생에게, 56.0%가 보호자에게 교권침해를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 교사 23.3%가 교권침해로 정신과 상담이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여전히 교권 보호 제도 등 교육 정책 전반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수업방해학생 분리 제도가 잘 운영되고 있다’는 응답은 13.4%, ‘민원 응대 시스템이 잘 운영되고 있다’는 응답은 14.0%에 불과했다.

교사 96.9%는 ‘교육 정책 전반에 현장 의견이 잘 반영되지 않는다’고 답했고, 95.8%는 ‘교육 정책 간 일관성이 높지 않다’고 답했다.

이보미 교사노조 위원장은 “요즘은 교사들이 스승으로서의 자긍심과 보람을 느끼기보다 열악한 교육 여건과 급변하는 교직 문화 속에 이직을 고민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현장 교사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정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paq@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