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회사 카카오페이證도 여파 불가피
카카오 주요 의사 결정 지연 우려
토스證 밀리는 구도 속 고민 깊어질 듯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김범수 카카오경영쇄신위원장 구속으로 카카오 ‘사법 리스크’가 본격화하면서 124개 카카오 계열사 전반에 미칠 파장도 촉각이다. 주요 경영 의사 결정이 지연되거나 신사업 추진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따라오면서다. ‘핀테크’ 증권사 1호로 출발했지만 후발주자 토스증권과 점유율 격차가 벌어지며 위기감이 고조된 카카오페이증권도 마찬가지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증권의 대주주는 지분 67.39%를 보유한 카카오페이다. 카카오페이는 카카오가 지분 46.44%를 갖고 있고, 카카오의 최대주주는 13.27%(특수관계인 포함 시 24.03%)를 보유한 김범수 위원장이다. 카카오페이증권은 향후 김 위원장이 본안 재판에서 유죄가 확정되고 양벌규정에 따라 카카오까지 처벌받는다면, 금융위원회의 대주주 적격성 판단에 따라서는 지분구조 변동까지도 불가피하다. 김 위원장 사법 리스크가 손자회사 카카오페이증권까지 드리운 셈이다.
구속영장 발부를 당장 카카오 계열사 사법 리스크로 직결 짓긴 어렵다. 구속영장 발부와 무관하게 본안 재판에서 무죄가 나오는 경우도 더러 있다. 다만 구속영장 발부로 미뤄보면 검찰 수사가 어느 정도 혐의 입증을 한 단계로 보인다. 법원 구속영장 발부는 일정 수준 혐의가 소명돼야하기 때문이다.
당장 위기는 총수 구속에 따라 카카오 그룹 내 주요 의사결정이 지연될 수밖에 없는 점이다. 카카오는 김 위원장이 경영 쇄신을 진두지휘한데다 인수·합병(M&A) 등 굵직한 의사결정은 사실상 그의 손을 거쳐야한다. 후발주자 토스증권에 밀리면서 공격적 확장이 필요한 카카오페이증권이 김 위원장 구속에 영향을 받을 거란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지난해 12월 카카오페이의 미국 종합증권사 시버트 경영권 인수 무산도 결국 카카오를 둘러싼 사법 리스크가 발목을 잡았다.
카카오페이증권은 토스증권보다 1년가량 앞서 출범한 핀테크 1호사다. 지난달 기준 누적 계좌 가입자 수는 카카오증권이 약 660만명, 토스증권은 약 610만명이다. 외연은 유사해보이지만 내실을 보면 양사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토스증권은 지난해 첫 흑자전환에 성공한 뒤 1분기 119억원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출범 후 적자 늪에 빠진 카카오페이증권은 올 1분기도 105억원 적자를 냈다.
격차가 벌어진 주원인은 해외주식 서비스 점유율 때문이다. 토스증권은 지난해 해외주식 거래를 중개하면서 받은 외화증권 수탁수수료 667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4위를 차지했다. 반면 카카오페이증권은 52억원으로 전체 11위에 올랐다.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위치에서 출발했지만 초기 전략이 성패를 갈랐다는 분석이다. 카카오페이증권은 초기 개인 투자자를 겨냥한 주식 직접투자 보다 펀드 등 간접투자에 방점을 찍고 자산관리(WM) 사업 역량 집중했다. 반면 토스증권은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서학개미 열풍이 불 당시 공격적으로 확장하면서 격차를 벌렸다.
토스증권은 앞서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를 WTS로 확장한 서비스인 토스증권 PC 정식 출시했다.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고 모바일과 PC 실시간 연동시켰다. 소액으로 해외 채권에 투자하는 서비스도 내놨다. 카카오페이증권도 미국 주식 '데이마켓' 서비스 시작, 펀드 라인업 확장 등 MTS 거래 환경 개선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