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시장 혼조세 속 성동·마포구 강세…'노·도·강' 여전히 하락세
서울 전세 매물 3만건 밑으로 '뚝'
[헤럴드경제=고은결 기자]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벌써 50주째 오르고 있다. 전셋값 상승에 매매 시장도 6주 연속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이 2일 발표한 '4월 다섯째 주(2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에 비해 0.03% 오르면서 6주 연속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승 폭은 전주와 동일했다.
부동산원은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관망세 속에 간헐적으로 급매물 거래가 진행되는 가운데 일부 지역 선호단지에서 상승 거래가 발생하고 매도 희망 가격이 상승하는 등 지역·단지별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구별로 보면 성동구가 전주 대비 0.15% 오르며 지난주(0.13%)에 이어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마포구(0.08%), 영등포구(0.07%), 동작구(0.07%), 서초구(0.05%), 강남구(0.05%), 용산구(0.05%)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노원구(-0.02%), 도봉구(-0.01%), 강북구(-0.01%) 등 일명 '노·도·강' 지역은 여전히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기준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2% 하락하면서 23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난주 보합을 나타냈던 수도권(0.00%→-0.01%)은 하락 전환했고, 지방(-0.03%→-0.04%)은 하락 폭이 확대됐다.
인천(0.00%→0.02%)은 동구(0.04%), 계양구(0.03%), 연수구(0.02%) 등의 매매가가 오르며 지난주 보합에서 이번 주 상승 전환했다.
경기 지역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3% 내린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지역 내에서도 수원 영통구(0.10%)는 매탄·원천동 대단지 위주로, 고양 덕양구(0.06%)는 화정·행신동 신축 위주로 상승했다.
반면 안성시(-0.12%)는 공급물량의 영향을 받은 공도읍·당왕동 위주로 하락했고, 과천시(-0.11%)는 부림·원문동 등에서 매물적체를 현상을 보이며 가격이 내렸다.
지방에서는 세종(-0.29%), 충남(-0.07%), 대구(-0.07%), 경남(-0.05%), 부산(-0.05%), 제주(-0.04%) 등이 하락했고, 강원(0.02%), 경북(0.02%) 등은 상승했다.
전세시장에서는 수도권의 전셋값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상승 기조가 이어졌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2% 오른 가운데 수도권(0.07%→0.07%)과 서울(0.07%→0.07%)은 지난주와 같은 상승 폭을 유지했고, 지방(-0.02%→-0.01%)은 하락 폭이 축소됐다.
서울의 경우 작년 5월 넷째 주 이후 50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동산원은 "정주 여건이 양호하고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역세권·소형 규모 위주로 전세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면서 상승 거래가 체결되고 있으며 매물 부족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작년 12월 3만5천∼3만6천건 수준이던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꾸준히 줄면서 지난 22일(2만9998건) 3만건 밑으로 떨어졌고, 이날 현재 물량도 2만9499건으로 3만건을 밑돌고 있다.
매매시장과 달리 전세시장에서는 '노·도·강' 지역을 비롯한 강북 지역이 강세를 보였다.
성동구가 0.15%로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고, 노원구(0.12%), 광진구(0.11%), 강북구(0.11%), 은평구(0.11%), 용산구(0.09%), 동대문구(0.09%), 금천구(0.09%), 도봉구(0.08%) 등이 뒤를 이었다.
성동구는 금호동1가와 행당동의 선호단지 위주로 전셋값이 올랐고, 강북구(0.11%)는 번동과 미아동의 이주 수요로 인해 소형 규모 위주로 가격이 올랐다고 부동산원은 전했다.
인천(0.09%→0.10%)은 전주보다 전셋값 상승 폭이 다소 커졌고, 경기 지역(0.06%→0.05%)은 상승 폭이 다소 줄었다.
특히 과천은 신규 입주 물량 영향 있는 부림동 위주로 전셋값이 하락하면서 전주 대비 0.14% 내린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에서는 세종(-0.24%), 경남(-0.05%), 대구(-0.05%), 충북(-0.04%), 제주(-0.03%) 등이 하락했지만, 전북(0.05%), 부산(0.03%), 강원(0.03%) 등은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