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1일 日 히로시마 G7 정상회의 참석
G7 회의 전후 G7 정상들과 연쇄 정상회담
한미일 정상회담도…尹정부 들어 세 번째
한일관계 개선 급물살 속 韓 G8 편입 기대감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19~21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전후로 향후 2주간 이른바 ‘외교 슈퍼위크’에 돌입한다. 윤 대통령은 G7 기간 중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비롯해 회의 전후 G7 정상들과 별도의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셔틀외교 복원으로 한일 관계개선이 속도를 내면서 우리나라의 주요 8개국(G8) 편입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기대도 나온다. 정부는 이번 G7 정상회의를 G8 편입을 위한 기회로 보고 보다 적극적인 외교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15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G7 의장국인 일본의 초청으로 오는 19~21일 2박3일 일정으로 히로시마를 방문해 옵서버(참관국)로 G7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이에 앞서 17일에는 G7 참석 전 한국을 방문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한-캐나다 정상회담이, 오는 21일에는 G7 정상회의에서 귀국하자마자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한-독 정상회담이 예정돼있다. 윤 대통령은 또, 오는 22일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상임의장, 우르술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한-EU 정상회담을 갖는다.
한국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것은 역대 네 번째다. 특히, 한국은 올해 의장국인 일본이 별도로 초청한 8개 국가(한국, 호주, 베트남,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코모로, 쿡 제도) 가운데 주요 지역국 기구나 국제 다자회의 의장국이 아닌 국가로서 따로 초청받은 3개국(한국, 호주, 베트남) 중 하나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G7과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면서 소위 ‘30-50 클럽’에 포함된 한국에 대한 역할, 기대가 반영된 것 아닌가 생각한다”며 “G7 회원국이 아니면서 가장 빈번하게 초청받는 나라로는 호주가 이제까지 6차례, 대한민국과 인도가 5차례 초청받았다”고 설명했다. ‘30-50 클럽’은 국민 1인당 소득이 3만달러 이상이면서 인구가 5000만명 이상인 소수의 국가들을 의미한다.
윤 대통령은 G7 기간 중 한미일 정상회담도 갖는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3국 정상이 마주 앉는 것은 지난해 6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 지난해 11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아세안) 정상회의에 이어 세 번째다. 윤 대통령 입장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는 한미 정상회담 이후 약 한 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는 한일 정상회담 후 2주 만에 다시 만나는 것이기도 하다. 현재로서는 21일 개최가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일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역내 공급망 불안정, 에너지 위기 등 공동의 도전에 대응해 한미일 협력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공조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윤 대통령은 또, 기시다 총리와 함께 히로시마 평화공원 내에 위치한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방문해 참배한다.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동안 잠잠했던 우리나라의 G8 편입 가능성도 다시 거론된다. 지난 2020년 미국 트럼프 행정부 당시 G10(G7+한국·호주·인도) 확대 논의가 있었으나, 일본의 반대와 캐나다, 독일 등의 부정적 반응 등으로 무산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두 차례에 걸친 정상회담으로 한일관계 개선이 급물살을 타면서 ‘G8 가입에 호기가 왔다’는 관측이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외교부가 주최한 주한 G7 대사 초청 만찬에서 ‘G8을 위해’라는 건배사를 하는가 하면, 국민의힘 공부모임 특강에서 “대한민국은 G7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세계 8강에 와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키도 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한 나라만 따로 배타적으로 추가하는 논의가 지금 진행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글로벌 역할을 지속적으로 원칙을 가지고 확대해 나가다보면 나중에 어떤 논의가 있을 수는 있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