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토지주택연구원 '도심청년주택 모델' 보고서
기존 주택은 외곽에 있고 좁은 공간 등이 과제
접근성 좋고 청년특화 공간 포함한 모델 제시
“모델 개발·제도 개선에 참고…추진 여부 미정”
[헤럴드경제=고은결 기자] 도심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비싼 집값, 공급 부족으로 ‘주거 난민’, ‘지·옥·고(반지하·옥탑방·고시원)’ 등 환경에 내몰리는 가운데, 새로운 청년임대주택 모델이 제시됐다. 아이디어 차원의 연구 결과지만 변화하는 주거 정책·수요를 면밀히 반영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청년 주거수요를 반영한 도심 청년주택 모델 개발’ 연구보고서는 향후 개발될 도심 청년주택이 청년계층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해 도심 중심에 공급되고, 임대주택 이미지와 주거환경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진단했다.
연구에 따르면 기존의 공공 청년임대주택(행복주택)은 도심권이 아닌 도시 외곽에 위치해 있고, 임대주택 낙인화로 사회 인식이 부정적인 데다 협소한 주거공간, 수납공간 등이 과제로 꼽혔다. 아울러 서비스, 공유 공간 등을 위한 커뮤니티가 없으며 소규모 단지라서 관리비가 높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해당 연구에서는 도심 청년주택 모델 및 특화방안으로 ▷도심 중심 공급 ▷임대주택 이미지 개선 ▷주거환경 성능 개선 ▷커뮤니티 환경 구축 ▷주거비용 절감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에 따른 도심청년주택 모델안은 우선 도심 역세권 또는 대학교 500m 이내의 입지를 갖출 것을 제안했다. 청년가구의 생활특성을 고려해 접근성이 높은 곳에 집중 공급해야 한다는 것이다.
후보지는 도심화과 완료된 공공주택지구 내 미매각 보유 토지, 국공유지 등을 활용하는 방안이 거론됐다. 아울러 도심 내 공급 확대를 위해 300가구 미만의 소규모 사업으로 추진하고, 빠른 공급을 위해 모듈러 건설방식도 제시됐다.
이 같은 ‘역세권 주택’에 대한 구상은 민간임대가 혼합된 서울시의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과는 다르다. LH 관계자는 “서울시 역세권 임대주택은 공공지원 민간임대 주택으로 공공임대와 민간임대가 혼합돼 있으며, 최대 10년의 의무임대기간이 지나면 분양 전환이 가능하다”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은 건설형 공공임대주택”이라고 설명했다.
접근성뿐 아니라 청년들의 주거 수요를 고려한 공간 설계, 특화 공간에 대한 구상도 그려졌다.
우선 획일화된 주거공간이 아니라, 주거 면적 21~40㎡ 사이에서 다양한 평형·가구타입으로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작지만 다 갖춘 올인원하우스, 빌트인 특화형, 짐을 많은 이를 위한 클로젯하우스 등으로 설계를 다양화할 수 있단 것이다. 또, 입주 대상인 만 18세~39세 1인 청년가구의 수요를 고려해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워크센터나 게스트룸 등을 포함한 ‘청년특화 코리빙 공간’이 제시됐다.
아울러 이번 연구에서는 공공시행자가 민간참여자를 공모 방식으로 모집하는 민간참여 건설·위탁운영 방식, LH가 짓고 민간사업자가 위탁운영하는 방식, 민간사업자가 부지 발굴, 계획·운영 등을 구상하는 민간 제안 방식 등의 사업모델이 제시됐다.
한편 LH는 이 같은 모델 제안이 향후 도심 내 청년 임대주택 공급 시 고려할 주거 수요 등을 검토한 연구 결과일 뿐이라고 선 그었다. LH 관계자는 “향후 도심 청년특화 임대주택사업 모델 개발, 제도 개선 등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면서도 “관련 사업 추진 여부는 미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