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절벽이던 9월, 2030 아파트 매입비중 역대 최고

중저가 아파트 밀집지역 매수세 몰려

대출 조이고, 전셋값 오르자 ‘빨리 사자’ 군중심리 올라가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서울 25개구 가운데 5개구에서 거래절벽이던 지난 9월 아파트 두 채 중 한 채 가량은 2030세대가 매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생애 첫 주택’, ‘신혼부부 특별공급’ 확대를 담은 8·4 공급 대책을 내놓았지만, 실제 정책 수요자들은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매수’를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가장 최근 집계 통계인 지난 9월 서울에선 4795건의 매매거래가 일어났다. 이 가운데 2030 세대 매입건수는 1994건(42%)로 올 들어 가장 많다. 강서구(53.0%), 성동구(50.7%) 등 2030세대 매입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구도 있다. 구로구(49.1%), 노원구(48.2%), 성북구(48.1%) 등 3곳도 아파트 매매 거래의 절반 가까이를 2030 세대가 매입했다.

강서·노원·구로… 아파트 두채 중 한채 2030이 샀다
서울 노원구 한 아파트 단지.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가 5000건 아래로 떨어진 지난 9월, 거래절벽 상황에도 불구하고 노원구를 포함한 5개 구에선 2030세대가 두 채 중 한 채 매수에 나선 것으로 집계됐다. [헤럴드경제DB]

이곳들은 6월 이후 이른바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 증가 지역이기도 하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지난 6월 이후 11월 현재까지 서울에서 가장 갭투자가 많은 지역은 노원구 상계동(226건), 강서구 방화동(135건), 노원구 중계동(130건) 등으로 꼽힌다.

정부는 6·17 대책으로 투기과열지구 내 3억원이 넘는 지역의 갭투자를 사실상 막았지만, 결과는 매수 가능한 지역으로 젊은 층의 매수심리를 부추겼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대출제한이 없던 때는 전세금만 있어도 집을 살 수 있었으나, 서울 및 수도권 전역의 매맷값 상승과 더불어 대출 규제가 더해져 아예 매수가 막힌 지역이 생기게 되자 ‘부동산 군중심리’가 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연구원은 “특히 2030 세대는 막상 집을 구하러 가보면 전세 매물도 없고 값도 오르다보니 ‘이러다가 낙오되겠다’는 위기 의식에 중저가 아파트 매입에 나서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실제 2030세대 매입 비중이 절반에 달하는 5개구 중 성동구를 제외한 4개구는 KB국민은행 10월 통계 기준, ㎡당 아파트 평균 매맷값이 서울(1182만1000원)에 미치지 못한다. 가격대가 비교적 낮아 접근이 용이한 지역이란 뜻이다.

갭투자 현황도 이를 반영한다. 아실 자료에 따르면 갭투자 밀집지역의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는 1억~2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노원구 상계동 두산아파트 105동의 경우 51㎡(전용면적 기준)는 10월 4억8900만원에 매매됐으나, 한달 새 전세가 3억5000만원에 나가면서 1억3900만원의 차이를 보였다. 중계동 주공7단지도 4억2000만원에 팔린 44㎡의 전세가 2억4000만원에 계약되며 2억원을 넘지 않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강서구 방화동 에어팰리스 1동 18㎡는 8월말 1억원에 매매된 것이 10월 전세1억1000만원에 나가며 아예 전세가격이 1000만원 낮았다.

yjsung@heraldcorp.com

서울 전세난 ‘나비효과’…경기·인천으로 발길[부동산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