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일러가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 서병기 선임기자]오는 27일 개봉하는 강제규 감독의 영화 ‘1947 보스톤’은 1947년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참가한 한국 대표단의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
손기정 선수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리스트로 수상대에 섰지만 일장기를 가렸다는 이유로 더 이상 선수생활을 안한다는 각서까지 써야 했다.
그런 손기정이 태극마크를 달고 올림픽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애쓰다 만난 선수가 서윤복이다. 1947년 보스톤마라톤과 1948년 런던올림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손기정 감독 겸 단장(하정우), 남승룡 코치 겸 선수(배성우), 서윤복 선수(임시완)가 팀으로 꾸려지게 됐다.
1947년은 한국이 해방은 맞았지만 미군정청의 신탁통치 기간이라, 보스톤 마라톤의 주관 단체인 미국육상협회에서는 한국팀에게 성조기가 그려진 선수복을 줘, 안그래도 11년전 일장기 사건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온 손기정 감독을 분노케한다. 결국 한국팀의 항의가 받아들여져 서윤복 선수는 ‘KOREA’와 태극마크가 그려진 선수복을 입고 뛰게 된다.
이 시대, 이런 소재를 바탕으로 영화를 만들게 되면 민족, 국가, 국민, 애국, 민족혼 등의 단어가 저절로 떠오르게 된다. 나라 잃은 설움을 스포츠로 극복해 전세계에 대한민국이라는 존재를 알리는 것이다.
선수단이 보스톤 공항에 도착할 때까지 비행기를 몇번 갈아타는지, 이것 하나만 봐도 눈물겹다. 김포에서 도쿄를 거쳐 하와이까지, 샌프란시스코 등등 미군용기와 민간여객기를 갈아타고 간다. 그래서 강제규 감독도 첫마디가 “이 영화가 많은 분에게 희망과 용기를 줄 수 있었으면 한다”고 했다.
하지만 강제규 감독은 국뽕과 신파적 요소를 가급적 줄이고 담백하게 영화를 전개해나간다. 운동화 한 켤레 살 돈도 없던 대한의 마라토너들이 미군정청 하지 중장이 비협조적으로 나오면서 대회 출전 길이 막히게 되자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모금해 대회출전비용을 마련하고, 보스톤에 가서도 우여곡절을 겪으며 대회에 출전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서윤복 선수가 1등으로 골인하는 극적인 순간까지 비교적 담담하게 담았다.
그럼에도 ‘국뽕’과 ‘신파’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국뽕’이라고 모두 나쁘다고 할 수 없다. 영화를 보면 억지로 짜내거나 감정을 강요하지 않고, 1947년 보스톤 마라톤 대회를 통해 그 시대를 차분히 들여다볼 수 있어 자연스럽게 감정이입이 되면서 공감까지 할 수 있다.
영화에는 몇가지 흥미로운 부분이 있다. 우선 손기정 감독과 남승룡 코치, 서윤복 선수가 세련되지는 않지만 환상의 하모니를 보여준다. 고집 세고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는 손기정 감독, 엄마처럼 어루만져주는 남승룡 코치 겸 선수, 어려운 환경을 딛고 선수로서의 강인한 정신력을 보여주는 서윤복 선수, 이 세 캐릭터의 조합으로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한 목표를 향해 달려간다.
이 환상의 팀 플레이어가 강한 전투력을 유발한다. 선수로도 참가해 12위를 한 남승룡 코치는 손기정 감독과 동갑이지만, 손 감독이 남 선배라고 부른다. 위 아래를 소통하는 중재자로서 남승룡 코치는 적역이다.
또 하나는 한국선수들은 언덕 코스에서 강인함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황영조 선수도 바르셀로라 올림픽 마라톤에서 38㎞ 지점인 급경사 난코스인 몬주익 언덕에서 일본의 모리시타 선수를 큰 격차로 물리치고 1위 자리를 굳혔다.
보스톤에서도 서윤복 선수가 몇십 ㎞를 뛰고난 후 하트브레이크 언덕에서 뒷심을 발휘해 선두선수들을 추월하며 우승하는 계기가 된다. 영화는 이를 어릴때 서낭당에서 밥을 훔쳐먹기 위해 가파른 무학재를 수도 없이 달린 소년 서윤복과 연결시킨다.
강제규 감독은 “이번에 영화를 만들면서 마라톤의 언덕 코스를 오르는 기술에 대해서도 알게됐다. 그때 배운 자세로 촬영에 임했다. 마라톤에서 누군가를 추월하는 쾌감은 엄청 짜릿하다는 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하정우, 임시완, 배성우의 연기는 매우 좋았지만, 김상호의 연기도 칭찬해줄만하다. 실제인물 백남용,극중인물 백남현을 연기했는데, “인물이 희화화된 것은 나의 상상이다”고 말했다. “나라가 우리한테 해준게 뭐가 있어”라고 소리칠때, 웃음이 나온다. 김상호의 연기는 다큐 분위기의 영화를 극영화 분위기로 약간은 바꿔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