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 사이클 돌입시 韓 장기 부채리스크 경계해야”
(왼쪽) 한국의 가계부채는 국내총생산(GDP)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국에 이어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위험한 국가 중 하나로 지목됐다. (오른쪽) 가계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제금융센터 제공]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기정사실화되며 향후 금리인하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특히 한국 경제는 장기 부채리스크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경제·금융 분석기관 ‘컨티뉴엄 이코노믹스’(Continuum Economics)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은 가계부채가 이미 높은 수준이며, 금리인하 사이클 돌입에 따른 금융불균형 리스크 확대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

CE는 미국과 일부 유럽 국가와 달리 아시아 지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지난 10년 간 꾸준히 상승했다는 점을 문제로 들었다. 가계부채 증가의 원인으로는 부동산시장 호황, 저금리 기조, 일부 포퓰리즘적 정부 정책 등을 지목했다.

특히 한국과 호주의 가계부채 리스크가 크다고 CE는 평가했다. 금리인하 사이클 돌입은 단기 디폴트 위험을 줄이는 요인이지만, 장기적으론 지속 가능성 이슈를 촉발한다는 지적이다.

실제 한국과 호주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며 지난 5년 간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100%를 상회하거나 근접했다. 명목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며 가계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 상승세다. 1년 동안 국가가 벌어들인 돈으로 가계의 빚을 다 갚기도 어렵고, 가계의 소득으로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느라 살림이 빡빡해졌다는 의미다.

특히 보고서는 “한국은 부채 수준이 높은 상황인데다가 증가 속도도 빠르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의 위험도는 아시아 국가 중 중국에 이어 수위권으로 지목했다고 센터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