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우아한청년들 자회사 '딜리버리앤' 사무실에 배달용 오토바이가 주차되어 있다. 임세준 기자 |
[헤럴드경제=박세정 기자] “1주일 만에 241만원 벌었네요”, “10일 동안 300만원 벌었습니다”
한 때 배달 기사들 사이에선 자신의 수입을 ‘인증’하는 글이 유행처럼 번진 적이 있다. 코로나19가 절정이던 시기에 배달 플랫폼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기사들도 마음만 먹으면 배달 횟수를 늘려 고소득을 올리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고생한 만큼, 수입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하지만 이같은 배달 고소득도 이제 옛말이 됐다. 지난해 실제 배달 기사 등 플랫폼 종사자들의 월 평균 수입은 100만원을 조금 웃도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전국 15∼69세 5만명 표본조사를 통해 실시한 ‘2023년 플랫폼 종사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배달·대리기사 등 플랫폼 종사자의 월평균 수입은 월145만2000원으로 나타났다. 작년 플랫폼 종사자들은 평균적으로 한 달에 14.4일, 하루 6.2시간을 일했다.
플랫폼 일자리를 시작한 동기로 ‘더 많은 수입’(36.1%), ‘일하는 시간·날짜를 선택할 수 있어서’(20.9%), ‘직장·조직 생활이 안 맞아서’(10.2%), ‘가사·학업·육아 등 병행 위해’(7.5%) 등을 꼽았다.
코로나19로 배달 플랫폼 시장이 급성장 했던 지난 2021년, 배달 기사 커뮤니티에 올라온 수입 인증글 [배달 커뮤니티 갈무리] |
지난해 플랫폼 종사자는 88만3000명으로, 전년(79만5000명) 대비 11.1% 증가했다. 2021년엔 66만1000명으로, 플랫폼 종사자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직종별로는 ‘배달·운전’이 48만5000명으로 가장 많다. 교육·상담 등 ‘전문 서비스’ 14만4000명, 데이터 입력 등 ‘컴퓨터 단순 작업’ 8만7000명 등이다.
전체 종사자 수는 늘었지만 배달·운전 종사자는 전년 대비 5.5% 줄어든 점이 두드러진다. 이는 코로나19 유행이 끝나면서 지난해 배달 플랫폼 사용 증가세가 주춤해진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강남구 우아한청년들 자회사 '딜리버리앤' 사무실에 배달용 오토바이가 주차되어 있다. 임세준 기자 |
배달 시장이 급성장했던 코로나19 시기가 끝나고, 최근에는 배달 기사들이 자신의 고수익을 ‘인증’하는 것도 주춤해진 분위기다. 한 배달업계 종사자는 “일부 기사들의 고수입이 모든 배달 기사들의 사례인 것처럼 오인될 수 있어 수입 인증 자체를 자제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또다른 배달업계 종사자 역시 “흔히 알려진 고수입은 오전, 오후, 야간까지 근무해야 가능한 수준”이라며 “코로나 시기 배달업 수요가 절정일 때는 전업으로 배달일을 하는 기사들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그 때보다는 분위기가 가라앉았다”고 언급했다.
sjpar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