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투자·자금지원 등 실질도움 안돼” 지적

“납품대금 선지급 등 정상경영 가능방식 절실”

中 현지직원 출근도 못해…정부 협의 의구심

특별연장근로 허용 긍정적…“신청 늘어날 것”

車부품업계 “공장 문닫을 판…최소 가동률 유지 지원안 달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중국산 부품 공급이 중단되면서 생산 라인이 순차적 휴업에 들어간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의 6일 모습. 현대차 울산공장은 7일부터 모든 생산이 중단되며, 노사는 휴업 기간을 이달 10∼11일까지로 예상한다. [연합]

“정부의 특별연장근로 허용과 물류·통관 지원 등은 환영하지만,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소규모 부품사 입장에선 완성차 기업의 납품대금 선지급 등 정상 경영이 가능한 방식이 훨씬 큰 도움이 된다.”

자동차 부품 업계는 7일 정부가 발표한 ‘자동차 업체에 대한 긴급 지원방안’이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부품업체의 숨통을 틔워줄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을 우려해 완성차 기업들의 더 많은 직접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나기원 르노삼성자동차 협력사 협회장은 “완성차 기업의 공장이 멈추면 규모가 있는 부품사들은 교육이나 생산라인 정비에 들어가지만, 소규모 협력사들은 공장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며 “공장 가동률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원책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부의 지원 방안에는 국내 대체생산을 위한 시설 투자 소요자금의 지원과 경영 안정 자금을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단기 유동성 확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겠느냐고 반문하는 목소리가 크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설비를 조정 중인 협력사들의 목적은 한 달 내 공장을 가동해 위기상황을 모면하자는 것”이라며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던 부품을 국내에서 생산하면 원가가 올라가는 문제가 생겨 장기적인 계획상 불확실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빠듯한 자금 운용으로 소요자금을 확보하지 않으면 줄도산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중기부에서 지원하겠다고 밝힌 경영안전 자금 계획 역시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지목된다.

자동차 공조 장치를 납품하는 한 협력사 관계자는 “2만~3만개 부품이 들어가는 자동차의 특성상 완성차 생산라인이 멈추면 즉각적으로 2~3차 협력사들은 위기에 직면한다”며 “정부의 자금 지원과 1년 내외의 R&D의 실효성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라고 했다.

중국 현지 부품공장 재가동을 위해 중국 정부와 협의를 가속한다는 방향성도 현실과 괴리가 있다는 반응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전염성에 현지 인력들이 공장에 출근하기조차 어려운 상황에서 지방정부의 도움이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란 논리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중국 현지 대중교통이 차단돼 기숙사 인력으로 공장을 돌릴 수밖에 없다고 호소하는 현지 업체 사장의 이야기를 들었다”면서 “물류·교통수단이 차단된 마당에 정부 간 협의가 자동차 산업 회생의 효과를 낼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산업부의 업계 현장 모니터링 체계 구축에 대한 의구심도 크다. 13개 지자체·23개 전문 지원기관과 연계해 업체의 애로사항을 듣는다는 취지인데, 신경망처럼 흩어진 2~3차 협력사까지 그 영향이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울산의 한 부품업체 사장은 “대규모 긴급자금 지원을 한 현대차그룹의 협력사들의 현황 파악은 가능할지 몰라도 중견 3사에 납품하는 소규모 업체들까지 경영 상황을 들여다보기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을 것”이라며 “하루 벌어서 사는 이들에겐 정부의 현장 모니터링조차 부담스러운 추가 업무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했다.

한현 정부의 특별연장근로 허용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사태가 진정됐을 때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늘려 매출 손실을 메워 정상화 속도를 올려야 하는 소규모 업체 입장에선 환영할 만한 부분”이라며 “향후 대기 물량이나 주문이 늘어나는 시기가 되면 사후승인을 통해 52시간 연장근로를 신청하는 업체들이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찬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