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고보드]

[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오는 11월이 미 국채 금리의 단기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3일 보고서를 통해 "11월에 예정된 FOMC, 임시 예산안 종료 이전 2023~2024년 예산안 합의 그리고 중동 리스크 확전 여부가 어느 정도 윤곽을 잡힐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금리 변수에는 유가와 함께 주간 실업수당청구건수 추이도 함께 꼽았다. 박 연구원은 "미국 경기와 물가 흐름이 고용시장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라며 "이를 선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주간 실업수당청구건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상 밖으로 19만건 수준까지 하락한 주간 실업수당청구건수의 추세적 상승이 가시화된다면 미국 국채 금리의 하향 안정세도 뚜렷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이투자증권]

또 일각에선 미 국채 금리 부담에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와 같은 신용 리스크가 반복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하지만, 증시 전문가는 "확산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미국 경제 체력도 탄탄한 데다 각종 신용 스프레드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달러화도 의외로 보합권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박 연구원은 "최근 미 연준 인사들의 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미 연준의 금리 동결 분위기가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국채 금리의 하향 안정에 기여할 여지가 있고 동시에 신용위험을 낮추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목했다. 다만, 유가가 배럴당 100 달러를 계속해서 웃도는 경우 신용 리스크는 불거질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한편, 미 국채 금리 변동성이 커지면서 국내 증시도 후폭풍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박 연구원은 "국내의 경우 미국 국채 금리 공포와 함께 유가 불안 그리고 중국 리스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긴축발작 리스크에 자주 노출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소위 박스피 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적 부진에도 증권사는 ‘성과급’ 잔치…10대 증권사 지난해 820억원 지급 [투자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