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중 광고 사업자 선정 목표 -광고업계는 불확실성 등 이유로 외면 -그동안 운영비는 매년 눈덩이로 커져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서울시가 공공자전거 ‘따릉이’ 광고권을 파는 데 난항을 겪고 있다. 시는 적자 해소 방안으로 다음 달 중 광고 사업자를 뽑는 방침을 세웠지만, 기업들은 불확실성을 지적하며 이를 망설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시에 따르면, 시는 다음 달 내 광고 사업자를 뽑기 위해 따릉이 광고 유치 방안을 구상중이다. 이를 위해 지난주에 광고 사업자 3곳을 만나 간담회를 갖기도 했다. 시가 올해 따릉이 광고를 통해 얻고자 하는 수익은 약 6억8600만원이다.
시가 따릉이 광고권을 판매하려는 것은 매년 운영적자가 눈덩이처럼 불고 있기 때문이다. 시의 ‘따릉이 적자 규모’를 보면 따릉이로 인한 적자는 2015년(9~12월) 약 3억7300만원, 2016년 약 23억4900만원, 지난해 약 38억8100만원(추정)에 이른다. 복지 차원에서 이용료를 최소화해 타는 시민이 늘수록 적자는 늘어나는 형식이다. 따릉이는 현재 대여료를 통해서만 수익을 내고 있다.
기업들이 망설이는 이유는 광고로 인한 효과를 확신할 수 없어서다. 무엇보다 공공자전거에 광고를 붙이는 일은 신규 광고 영역에 발을 딛는 것인 만큼 더 조심스럽다는 눈치다.
시 관계자는 “미국 뉴욕의 공공자전거 ‘시티 바이크’는 시티은행 로고를 박고 달리는데, 이는 아예 이름부터 내준 후원 개념으로 우리와 다르다”며 “사실상 그간 없는 광고 방식이라, 기업들도 이를 새로운 영역으로 취급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관리가 쉽지 않다는 점도 언급된다. 단순 조형물이 아닌 이동물에 광고를 하는 셈인데, 2만대가 모두 어느 지점에서 어느 시간만큼 보이는지 바로 파악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피드백에 한계가 있다는 이야기다. 모두 달리는 것도 아니다. 시에 따르면, 따릉이 수리 건수는 2016년 1만6688건에서 지난해 2만8886건으로 껑충 뛰었다. 최대 효율을 내야하는 기업 시선으로는 좋지 않은 수치다.
버스나 지하철과 달리 광고 부착면이 작은 점도 광고권 구입을 망설이게 한다.
시는 따릉이 바구니와 휠 등에 광고를 부착하는 등 방식을 고민중이다. 시 관계자는 “따릉이의 구조상 큰 광고는 한계가 있다”며 “노출할 수 있는 문구나 그림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상황은 이렇지만, 시는 가능성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체감할 수 있는 복지 서비스라는 점과 ‘친환경’이라는 이미지를 적극 호소하면 승산이 있다는 계산이다. 지난해 서울시민이 뽑은 ‘서울 2017년 10대 뉴스 ’ 1위에 따릉이가 오른 점도 호재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가 따릉이에 매년 큰 예산을 투자하는만큼, 발전 가능성이 아직 무궁무진하다”며 “마음 같아서는 이번해에 당장 광고 유치를 하고 싶지만, 기업이 인식을 바꾸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상황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