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의료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연합]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의료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연합]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주당 52시간이 넘게 일하면 뇌 구조를 바꿔 문제 해결 능력과 기억력, 감정 처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직업 및 환경 의학’ 저널에 따르면 연세대와 중앙대 공동 연구진은 의료 분야 종사자 110명의 뇌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의 예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10명 가운데 32명은 주당 최소 52시간 일하는 과로 그룹, 78명은 주당 40시간 정도로 표준 근무 시간을 유지하는 그룹이었다.

분석 결과 장시간 근무하는 이들은 뇌의 전두엽의 중앙 전두회 부위의 회백질 용량이 평균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위는 주의 집중, 작업 기억, 언어 관련 처리 등 복합적인 인지 기능에 관여한다.

또 주의, 계획, 의사 결정을 담당하는 상전두회, 감각·운동 기능 통합, 감정 처리, 자기 인식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섬엽 등 17개 부위의 부피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과로한 사람들은 실행 기능 및 감정 조절과 관련한 뇌 영역에서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면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장시간 근무와 뇌의 구조적 변화를 연결하는 새로운 신경생물학적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연구진은 이러한 구조적 변화가 장시간 근무로 인한 것인지,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해 개인에게 더 오래 일하는 성향을 부여한 것인지는 판단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betterj@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