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한중일·EU 등 불공정 국가로 언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3/23/news-p.v1.20250323.aac62b8468914cb5bea1038b1e23eb37_P1.png)
[헤럴드경제=차민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2일 발표할 관세 조치들은 ‘더 표적화된’(more targeted) 형태가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좌관들과 측근들을 인용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사안에 정통한 당국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표가 이전에 암시해온 전방위적이고 전 세계적인 조치보다는 더 집중적인 형태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상호 관세 대상에 일부 국가는 제외될 것이며, 현시점에서는 특정 산업에 대해 따로 관세를 부과하는 계획은 이번 발표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한 당국자는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국가들, 미국이 무역수지 흑자를 거둔 국가들은 이번 관세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즉각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 발표되는 관세율은 즉시 발효될 예정이라고 다른 한 관계자는 전했다.
한 보좌관은 지난주 관세 프로그램 이행 방법에 대한 내부 “협상”을 거듭 언급했는데, 자주 매파적 신호를 내는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원으로서 관세 인상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보좌관은 관세 조치로 10년간 수조 달러의 수익을 거둘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당국자들은 최근 관세 국가 목록이 보편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철강 등 이미 부과된 기존 관세가 반드시 누적 적용되는 것은 아님을 인정했다. 이는 해당 산업이 받는 관세 부담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는 뜻이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어떤 국가들이 상호 관세 대상에 포함될지는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관계자는 이 문제를 논의할 때 유럽연합(EU), 멕시코, 일본, 한국, 캐나다, 인도, 중국을 불공정 무역 국가로 지목했다.
앞서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18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상호관세율은 국가별로 다를 것”이라며 “우리가 약간의 흑자를 보지만 우리와 교역을 별로 하지 않는 큰 그룹의 국가들이 있다. 그리고 우리가 ‘지저분한 15’(Dirty 15)라고 부르는 국가들이 있는데 이들은 상당한 관세를 (미국에) 부과하고 있다”고 말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폭스 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시장이 모든 국가에 매우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는 기대를 바꿔야 한다”며 “모든 국가가 무역에서 우리를 속이는 것은 아니다. 단지 몇몇 국가들만 그렇기 때문에 그 국가들에만 관세가 부과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 백악관에서 “4월 2일은 해방의 날이 될 것이다. 우방과 적을 막론하고 전 세계 모든 나라로부터 착취당했다”며 이번 조치가 “수백억 달러”의 수익을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cham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