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2월 추천 공공서비스 선정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1.새집으로 이사를 하게 된 ㄱ씨. 기존에 쓰던 오래된 가전제품을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하던 중 환경부 유관기관인 ‘e-순환거버넌스’에서 가전을 무상으로 회수해 간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수거할 제품과 수거 날짜 등을 입력하니 곧바로 예약이 확정돼 수거까지 간편하게 이뤄졌다.

#2. 지난 발령 때 급하게 이사를 한 직장인 ㄴ씨. 우편물 주소지를 변경하지 않아 등기 등 중요한 서류들이 모두 예전 거주지로 배송돼 직접 가지러 가야 했다. 그러나 최근에 ‘정부24’로 전입신고를 하며 ‘주거이전 우편물 서비스신청’도 함께 하면 우편물을 현 주소지로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행정안전부는 입학과 전학, 인사이동 등으로 이사가 많아지는 2월을 맞아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와 이사 후 이전 주소지로 간 우편물을 현 주소지로 배송해 주는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를 이달의 추천 공공서비스로 선정했다.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는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 지자체 및 가전제품 제작·판매사가 협력해 부품 재활용은 늘리고, 폐기물 배출은 줄여 지속 가능한 친환경 순환 체계를 구축하고자 2014년부터 시행한 서비스다.

‘e-순환거버넌스’ 누리집 또는 전화로 회원가입 없이도 간단한 절차를 거쳐 날짜와 장소 등을 등록해 신청만 하면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특히 아파트 거주자는 월 관리비나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하는 ‘아파트아이, 아파트리, 아파트너’ 등의 아파트 관리 앱에서도 바로 신청할 수 있다.

냉장고, 세탁기 등 대형가전은 1개부터 수거가 가능하며 에어컨, 벽걸이 TV 등 설치제품은 미리 분리해야 한다. 다만, 사다리차 등 인력 외 장비가 필요한 경우는 수거 신청이 불가능하다.

핸드폰, 공기청정기 등 소형가전은 5개 이상부터 무상 수거 신청할 수 있다.

소형가전은 집 근처 가까운 ‘폐가전 수거함’을 통해서도 버릴 수 있다. ‘폐가전 수거함’ 위치는 ‘자원순환실천플랫폼’에서 ‘내집 앞 폐가전 수거함’에서 확인할 수 있다.

e-순환거버넌스 누리집 초기화면
e-순환거버넌스 누리집 초기화면

우정사업본부의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는 이사 뒤에 이전 주소지로 발송된 우편물을 현 거주지로 배송해 주는 서비스로, 이사 이후 주소 변경을 바로 하지 않아 자주 발생하는 오배송을 예방할 수 있다.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는 새 주소지가 전 주소지와 동일권역이면 3개월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3개월 단위로 서비스를 연장할 때는 개인 4000원, 단체 5만3000원의 별도 비용이 발생한다.

다만, 전송하려는 주소지가 타 권역이면 최초 신청부터 개인은 7000원, 단체는 7만원의 이용료를 납부해야 한다.

‘주거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는 우체국을 직접 방문하거나 우체국 누리집 또는 ‘정부24-전입신고’에서 신청할 수 있다.

이밖에 은행·카드·통신사 등 행정서비스 외 주소 변경이 필요한 경우 ‘KT무빙 원클릭 서비스’로 한 번에 주소 변경을 신청할 수 있다.

‘정부 24’ 내 ‘주소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 신청 화면
‘정부 24’ 내 ‘주소이전 우편물 전송서비스’ 신청 화면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정부는 더 나은 국민 일상을 위한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통해 국민 불편은 줄이고, 편의는 더욱 높이는 정부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행안부는 공공기관의 서비스 중 이슈·시기별로 국민이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을 ‘추천 공공서비스’로 선정해 매월 소개하고 있다.

‘이달의 추천 공공서비스’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정부혁신 누리집(혁신24) 및 SNS 채널(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