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골드버그 전 주한 미국 대사 [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02/02/news-p.v1.20250202.75cd37b6f5504876b12bba92c747f45d_P1.jpg)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주한 미국대사로서 한국의 비상계엄과 이후 탄핵 국면을 지켜봤던 필립 골드버그 전 대사가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을 “엄청난 실수(huge error)”라고 밝혔다.
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그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화상 인터뷰에서 비상계엄에 대해 “비민주적 행동”이라고 평가하면서 이 같이 말했다. 또 재임 중 자신의 입장을 한국 측에 분명히 밝혔다고 전했다.
골드버그 전 대사는 2022년 7월 주한대사로 부임해 지난달 7일 이임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선포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에 대해 “민주주의가 잘 확립된 나라에서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 첫 반응은 ‘충격’이었다”고 돌아봤다.
또 계엄선포 후 한국 당국자와의 소통이 “만족스럽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골드버그 전 대사는 “대통령실 관계자와 연락이 닿았는데, 솔직히 말하자면 그는 내가 가진 수준의 정보를 가지고 있었다”면서 “그날 밤은 혼란스러웠고, 각료와 다른 정부 관계자 중 많은 사람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몰랐기 때문에 지나치게 비판적으로 말하지 않겠다”고 했다.
계엄령 선포 후 한국 상황에 대해선 “한국인들, 특히 한국 정치권이 국회와 법원을 통해 헌법 절차를 따르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반도 비핵화가 美의 오랜 정책…현재 한미간 소통 충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칭한 것과 관련해선 “한반도 비핵화, 특히 북한 비핵화를 추구하는 것이 미국의 오랜 정책”이라면서 “비핵화 정책은 중요하며 한미동맹을 유지하고, 세계 다른 나라들을 규합하는 데 도움이 된 정책이라고 생각하며, 거의 만장일치의 견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비핵화가 최선의 길이라고 믿는다면 북한을 ‘핵 국가’(nuclear state·공인 핵보유국)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얼마 전 한국의 전(前) 외교부 장관의 글을 읽었는데, 거기서도 비핵화를 위한 어떤 조치를 취하든 모든 것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과정’이 될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한국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현재 한미간 소통에 대해선 “이상적이진 않지만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정부에서 전개될 북미간 소통에 대해선 “성급하게 결론내리지 않겠다”고 전제한 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에 대해 말한 것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발언’이지 ‘정책’이 아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노딜(2019년 2월) 이후 북한이 (북미대화 등에 대한)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며 “북한과의 외교, 우리의 군사 및 안보, 경제 관계 등에 있어 모든 돌발 상황과 시나리오에 대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에 “한미간 모두 이익 되는 것들 부각해야”
골드버그 전 대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견제 정책에 따른 주한미군의 역할변화 가능성에 대해 “주한미군은 한미 상호방위조약에 따라 주둔하고 있으며, 한국 국민을 보호하는 것이 그들의 임무”라며 “ 그 외 다른 모든 것은 협상이 필요하며 미국과 한국 간에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미일 3국 협력의 논리는 한반도뿐만 아니라 인도·태평양의 안보도 다루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민주주의 국가이자 동맹국으로서 우리는 한반도를 넘어서는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기존 협정에 따라 주한미군이 주둔하고 있기 때문에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를 위해서는) 양자 또는 한미일 간에 또 다른 합의나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한미 관계에 대해선 “바이든 행정부는 인센티브를 통해 투자를 장려하고,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를 쓰려고 하는 등 접근 방식의 차이가 있다”면서 “우리(한미)는 인공지능(AI)과 양자 물리학, 기후 등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협력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양자 및 3자(한미일)간 노력을 구축했다. 많은 일들이 진행중인데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것들이 가장 부각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한국 정부가 경제 측면뿐 아니라 군사 및 안보 측면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으며, 그러한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그것이 여러분들(한국)이 할 수 있는 전부일 것이다. 아직 (트럼프의 기조를) 예측할 수 있고, 아무것도 정립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yjsu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