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창군 이래 첫 장관 직무대행체제 지속
軍, 수뇌부 공백 우려 속 “본연의 임무 수행”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방부가 창군 이래 처음으로 차관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을 비롯한 군 수뇌부가 대거 직무정지 상태에 놓인 가운데 군 당국은 대북 대응체계에 이상이 없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13일 “지금 군은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며 “접적지역 대비태세는 이상이 없다”고 말했다.
합참 관계자는 “직무대리 체제가 몇 군데 있다 보니 우려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수방사나 특전사 등 부대는 대테러 임무 위주로 만든 부대”라며 “실제 전시에 접적지역에서 적과 맞서 싸우는 부대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실제 전시에 대비한 북한군 감시나 도발이 발생했을 때 대응하는 체계에는 이상이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이후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군 수뇌부가 줄줄이 직무배제되거나 수사선상에 올라 대북 대비태세에 우려가 나오고 있는 형편이다.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육군 대장) 육군참모총장을 비롯해 계엄에 크든 작든 관여한 것으로 나타난 여인형(육군 중장) 국군방첩사령관과 이진우(육군 중장)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육군 중장) 특수전사령관 등 고위 장성이 직무정지된 상태다.
12·3 비상계엄을 기획부터 실행까지 주도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면직 이후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체제도 지속되고 있다.
윤 대통령이 김 전 장관의 후임으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지낸 최병혁 주사우디아라비아 대사를 후임으로 지명했지만 최 대사는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윤 대통령은 군 장성 출신인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을 후임으로 재지명하려 했지만 한 의원도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