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日 비교해 보니 ‘차이’…국내 시니어 주택 “없어서 못 산다”

내년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도 불구, 노인주택 공급 ‘전무한 수준’
높은 희소성에 입주까지 수 년 걸리기도… 신규 공급단지 선점경쟁 치열

 


건강한 시니어를 위한 시니어 주택이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으나, 공급은 턱없이 부족해서다. 이에 우수한 상품성을 갖춘 인기 시니어주택에는 시니어들의 입주 대기 행렬이 이어지고 있고, 신규 공급 단지에는 이례적인 조기 마감 임박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시니어타운은 전국 39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찍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의 경우에는 약 1만 6724곳에 달했다. 조사 시점 기준 국내 시니어주택의 보급 수는 일본의 약 0.23%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가 일본의 4분의 1 수준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시니어주택은 매우 적은 공급량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 추산 우리나라의 현재 65세 이상 인구는 993만 8235명이다. 노년층 인구 대비 시니어타운에 입소할 수 있는 비율은 2인 가구 기준 0.17%에 불과한 셈이다.

이에 정부에서도 시니어 주택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경기도 화성시 인근 약 2,000실 규모의 헬스케어 리츠 도입을 추진 중에 있고, 여기에 그치지 않고 국토부도 2027년까지 매년 1,000가구씩 총 5,000가구 공급을 계획 중이다.

이러한 가운데 롯데건설이 공급한 ‘VL 르웨스트’는 호텔 셰프가 입주민들의 건강 상태에 따른 개개인 맞춤형 식단을 제공한다. 롯데호텔의 운영지원을 통해 운영되는 다이닝 서비스에는 제철 건강식을 포함해 고혈압 ∙ 골다공증 ∙ 저염식 등 각종 치료식은 물론 모임 및 연회를 위한 프리미엄 외식형 메뉴도 제공된다.

단지 내 ‘보바스기념병원 건강관리센터’를 운영해 입주민들의 건강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동작감지 센서를 통해 입주민의 생체 신호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가능할 전망이며,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를 위한 비상콜 시스템도 마련됐다.

시니어 세대의 독립성을 반영해 ‘원룸 원배쓰(방 하나당 화장실 하나)’의 평면, 신체 및 안전을 고려해 전 세대 미닫이문 및 무단차 계획, 동선을 최적화시킨 세대 내 순환형 구조 등을 도입했다.

이외에도 세대 내 냉방시스템, 헬스케어 시스템 등 최첨단 IoT 시스템을 도입해 편리한 일상생활을 가능하게 했다.

한편, 막바지 공급이 한창 진행 중인 ‘VL 르웨스트’는 전용 51㎡~149㎡, 지하 6층 ~ 지상 15층, 4개동 810실 규모로 조성된다. 현재 최초 입주자에게 10년간 임대 보증금 동결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계약금 1천만원 정액제, 계약금 10%에 대한 금리 5% 이자지원, 중도금 50% 무이자를 제공한다.

VL르웨스트의 견본주택은 서울시 양천구 목동 일원에 마련돼 있다.

kim395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