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한국의 대표작가‘ 신경숙의 표절사태가 발생한지 두 달이 지나면서 대중의 관심은 다소 수그러든 모양새입니다. 골방으로 들어간 작가와 침묵하는 출판사 사이에서 소위 ’문학권력’ 주변의 목소리만 컸던 시간이었습니다. 그렇게 뜨거운 여름이 갔습니다

당시 당사자들의 공감할 만한 한 마디를 절실히 기다려온 독자들의 실망과 분노는 컸습니다. 그리고 제대로 입장을 들었던 것 같지 않습니다. 그래도 시간이 지나니 화도 가라앉고, 대한민국이 들썩일 만큼 시끄러웠는데 이제 그만 됐다는 분위기도 있는게 사실입니다. 그런데 배신(?)의 기억은 사라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취재X파일] ‘신경숙 표절’ 입 연 창비의 동어반복

표절 시비에 휘말린 신경숙의 단편 ‘전설’을 담은 단편집 ‘감자 먹는 사람들’의 출판사 창비가 계간 문예지 ‘창작과 비평’ 가을호에 마침내 표절 논란과 관련, 편집주간의 발언과 긴급기획을 실었습니다.

백영서 ‘창작과비평’ 편집주간은 ’책머리에‘서, 사태를 겪고 내는 이번 가을호에 대한 조심스러움을 내비치며, ”사죄드린다“고 먼저 밝혔습니다. 그리고 그동안 묵언을 택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길게 설명합니다.

백 주간은 “그간 내부토론을 거치면서 신경숙의 해당 작품에서 표절 논란을 자초하기에 충분한 문자적 유사성이 발견된다는 사실에 합의했다”며 ”하지만 동시에 그런 유사성을 의도적 베껴쓰기로 단정할 수는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백 주간은 이어 “무의식적인 차용이나 도용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표절이라는 점이라도 신속하게 시인하고 문학에서의 ‘표절’이 과연 무엇인가를 두고 토론을 제의하는 수순을 밟았어야 했는지도 모른다”고 말하며, 대처를 제대로 못했다고 시인합니다.

그리고 묵언을 택한 이유를 ”작가가 ‘의식적인 도둑질’을 했고 출판사는 돈 때문에 그런 도둑질을 비호한다고 단죄하는 분위기가 압도하는 판에서 창비가 어떤 언명을 하든 결국은 한 작가를 매도하는 분위기에 합류하거나 ‘상업주의로 타락한 문학권력’이란 비난을 키우는 딜레마를 피할 길이 없었다”고 설명합니다.

백 주간은 비판의 대상이 된 ’문학권력‘을 “문학장안에서 일정한 자원과 권위를 가진 출판기업을 가리키고 그 출판사가 유수한 잡지를 생산하는 하부구조로 기능함을 의미한다면, 창비를 문학권력이라 불러도 무방할 것”이라고 해석합니다.

백 주간의 글은 변명이 8할입니다. 사태가 벌어진 6월과 달라진 게 없습니다.

당시 대표이사 이름의 사과문에서 “내부의 시스템을 재점검하고 필요한 후속조치를 마련하겠다”고 밝힌 의지는 온데 간데 없습니다. 오히려 묵언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들어 창비가 걸어온 길은 정당하다는 입장을 강화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이는 독자들을 우롱한다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독자들을 그저 “한 작가를 매도”하려 떼로 몰려다니며 ‘마녀사냥’이나 하는 존재로 여기는 투입니다.

그런데 그런 독자들이 창비를 키웠다는 사실을 창비는 잊은 듯합니다.

‘긴급기획’이란 지면을 보면 창비의 무성의한 태도가 보입니다.

외부평론가들이 당시 ‘신경숙 표절 사태‘와 관련, 벌인 토론회에 발표한 평론들을 묶어 발표한 정도입니다.

’긴급기획‘이란 말이 낯뜨겁습니다.

면피용으로 끼워넣은 ’긴급기획‘과 ‘창작과 비평’의 얼굴격인 특집 ‘시대 전환의 징후를 읽는다’는 어쩐지 부조화스러워 보입니다.

창비는 사태가 일단락됐다고 본 걸까요? 아님 대중의 ’냄비근성‘을 믿고 이젠 안심하는 걸까요?

“문학잡지라서 그런가 변명이 예술이네. 너무 있어보여서 더 구차해보인다”“(****)묵인하는 집단이 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사회비평을 하는(***) 역겹다. ”

독자들은 여전히 화가 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