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공동주택 실거래가격지수 종합

작년 한해 아파트 실거래가 전국 18.45% 폭등

수도권은 24.1% 올라…2006년 이후 최대 오름폭

역대 최저 거래량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하락

“대선 등 불확실성…당분간 거래 소강상태 불가피”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지난해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격 상승폭이 집값 폭등기였던 2006년과 비숫한 수준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도 20%이상 뛰면서 2006년을 제외하고 상승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 ‘2021년 12월 공동주택 실거래가격지수’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전국 아파트 실거래 가격은 18.45% 올라 2006년(19.4%) 이후 15년 내 상승폭이 가장 컸다.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던 2017년(1.2%)은 물론 2018년(1.37%)과 2019년(1.4%)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다가 2020년 16.31%나 폭등하면서 급등세를 시작했다.

이 지수는 한국부동산원이 지방자치단체에 신고된 모든 아파트 실거래가를 ‘계약일’ 기준으로 집계해 작성한다. 계약 이후 30일 이내 신고해야 하므로 지난해 12월까지 확정된 계약건이다.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서도 수도권 변동폭이 컸다. 수도권은 지난해 무려 24.1%나 뛰어 2006년(27.35%)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수도권 아파트 실거래가는 문재인 정부 부동산 규제 정책에 따라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했다.

2017년 8.2대책, 2018년 9.13대책, 2019년 12.16대책 등 대출을 줄이고, 세금 부담을 강화하는 대책이 발표된 직후엔 늘 거래가 감소하고, 집값이 잠시 하락하다가 다시 오르기를 반복했다. 2017년 3.78%였던 실거래가 상승폭은, 2018년 7%로 확대되더니, 2019년 3.55%로 다시 축소됐고, 2020년(20.96%)부터는 폭등세를 이어갔다.

최근 시장 상황은 지난해 10월 정부의 강력한 가계부채 관리 방안이 나온 이후부터 주춤한 상황이다. 매매뿐 아니라 전세 대출까지 바짝 조여 매수자에게 집을 살 엄두가 나지 않게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월간 기준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격은 지난해 11월 –0.14% 변동률을 기록하면서 19개월 만에 하락했고, 12월에도 0.91% 빠지면서 두 달 연속 내렸다. 수도권 기준으로도 지난해 11월 –0.21%, 12월 –1.36% 변동률을 기록하면서 하락 전환했다. 수도권도 직전 마이너스 변동률을 보인 때가 2020년 4월(-0.05%)이었으므로 역시 19개월만이다.

지난해 아파트 실거래가 2006년 수준 ‘폭등’[부동산360]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거래 시장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23일 서울 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 모습. [연합]

최근 실거래가 하락세가 예사롭지 않은 건 거래량이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대출규제로 집을 사기 어려운 상황이 됐고, 대선후보들이 양도소득세 완화 등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공약을 발표한 상황이어서 ‘관망세’가 더 짙어졌다. 규제 완화 이후 거래하는 게 여러모로 이득이라고 생각하는 집주인이나 매수자들이 많아 봄 성수기가 옛날이 됐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2만213건으로 전월(2만4338건) 대비 16.9%, 전년 동월(7만5235건) 대비 73.1% 각각 감소했다. 9월 3만7362건 거래되던 것이 10월 3만5514건, 11월 2만4338건 등으로 계속 줄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 감소세는 역대급이다. 12월 5338건 계약돼 전월(6613건) 대비 19.3%, 전년 동월(3만3756건) 대비 84.2%나 급감했다. 수도권에서도 1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61건 밖에 되지 않아 역대 가장 낮았다.

전문가들은 실거래가 하락 추세는 대선 전까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새로운 대통령이 확정되고 규제완화 강도가 결정돼야 집을 사건, 팔건 행동에 옮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재국 금융연수권 겸임교수는 “현재의 가격 하락은 수급요인에 따른 구조적 하락이라기 보다는 대출, 세금규제 같은 정책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면서 “대선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규제완화 윤곽이 나타나면서, 금리변화 등 불안요인이 일정 정도 해소되는 시점부터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아파트 실거래가 2006년 수준 ‘폭등’[부동산360]
부동산360 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