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MA ‘2019년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동향’ 발표

글로벌 시장 규모는 전년比 4.2% ↓…2년째 축소

수요 감소 속 한국ㆍ유럽ㆍ일본차 브랜드는 선전

“차별화된 개발역량 필요…노동유연성 제고해야”

지난해 한국車 세계시장 점유율 늘었지만…“경쟁력 강화 지원책 절실”
[헤럴드DB]

[헤럴드경제 정찬수 기자]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2년 연속 축소한 가운데 한국 자동차 브랜드의 글로벌 점유율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20일 미국, EU, 중국,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등 주요 7개 시장의 승용차 판매 실적을 분석한 ‘2019년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시장의 승용차 판매는 전년 대비 4.2% 감소해 2년 연속 감소했다. 특히 감소폭은 2018년 0.8%에서 2019년 4.2%로 확대됐다.

인도(12.7% ↓)와 중국(9.5% ↓)의 수요 감소에 멕시코(7.5% ↓), 러시아(2.3% ↓) 등 주요 신흥시장의 부진한 실적이 큰 영향을 미쳤다.

선진국 시장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모습을 보여 대비됐다. EU는 전년 대비 1.2% 증가해 시장규모가 6년째 확장세다. 미국은 같은 기간 1.4% 감소했으나 여전히 1700만대에 육박하는 시장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브랜드 국적별로는 한국을 비롯해 유럽, 일본이 선전했다.

한국브랜드는 미국, EU, 인도에서 시장 특성에 맞는 모델을 투입하면서 각각 4.6%, 2.8%, 1.0% 증가했다. 중국 시장에서 14.4% 감소했지만, 시장 점유율은 2018년 7.4%에서 2019년 7.6%로 상승했다.

유럽 브랜드는 EU와 중국을 중심으로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전년 대비 0.6% 증가했다. 시장 점유율은 2018년 31.0%에서 2019년 32.6%로 높아졌다. 일본 브랜드는 3.2% 줄었으나 중국에서 유일하게 2.3% 증가하며 25.3%에서 25.6%의 점유율 상승을 보였다.

정만기 KAMA 회장은“지난해 한국 브랜드는 세계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선전했으나, 급변하는 환경과 중국의 추격을 고려해 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며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계획대비 40% 이상의 조업 차질을 만회하기 위해 충분한 특별연장근로 허용과 노조의 적극적 협조가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론 해외 산업 이전으로 인한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의 기반 약화를 보강하기 위한 부품생산체제의 고도화와 생산성 범위 내 임금안정과 노동 유연성 제고가 추진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난해 한국車 세계시장 점유율 늘었지만…“경쟁력 강화 지원책 절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부품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멈춘 국내 자동차 생산공장 모습.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