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協 분석, '연구를 위한 연구'에 집중
산업 현장으로 연계되고, 총액도 늘려야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대한민국 3대 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선정된 바이오-헬스 분야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투자가 '연구를 위한 연구'에만 몰려 기술의 산업화를 외면하고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신기술의 저수지', '신약 기술개발의 마중물'이 되어야 할 R&D 국고의 여러 투자 대상 중 대학에 지원되는 비중은 50%에 육박하는데 비해, 산업계에는 정부출연연구소 보다 낮은 20% 미만이 지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의 정책보고서 ‘KPBMA Brief’ 최신 18호에 수록된 ‘신약개발 분야에서의 국가 R&D 투자와 기업 지원의 시사점’ 분석 자료에 따르면,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에 투자된 정부 재원(2016년 기준) 중에서 ▷대학에 지원된 비중이 45.5% ▷정부출연 연구소 22.7% ▷기업 19.9% ▷국공립연구소 5.2% 순으로 파악됐다.
산업 현장에 투자된 비중이 대학 지원 예산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신약 1개를 개발하는데 평균 1조원 이상이 들고, 임상 1상에만 약 37억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할 때, 국고의 산업계 투자 비중은 미미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제약협회 측은 “정부의 대학·출연연구소 등 기초 연구분야에 대한 지원 비중이 과도할 정도로 큰 만큼 그 성과가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니라 산업 현장으로 연계되도록 보완해야 한다”면서 “제약바이오 기업들에 대한 세제 혜택, 민간기금 투자 촉진 혜택, 성공불 융자 등 간접적인 방식의 연구개발 촉진 지원책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