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車생산 400만대선 붕괴할 수도”

산업硏 “수소차도 좋지만 전기차 양산 전략 병행해야”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국내 자동차산업의 명운을 가를 미래차개발과 관련해 수소차 개발과 투자도 좋지만 전기차 양산 전략도 병행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7일 산업연구원의 이항구 선임연구위원과 윤자영 연구원은 ‘구미(歐美)의 미래차 주도권 확보 경쟁 가속화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현재의 글로벌 시장상황과 한국의 배터리 경쟁력을 고려해 전기차 투자를 늦춰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전세계 수소전기차 누적판매는 지난해까지 1만대에 불과하다”며 “수소전기차 수요가 2030년에 전세계 신차 판매의 2%에도 못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전기차 시장은 상용화 10년만인 2019년에 하이브리드자동차 판매를 추월하며 급성장세를 유지해 나갈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경쟁기업들은 2022년까지 100종 이상의 전기차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다.

또 우리나라가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세계 선두급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점도 한국 자동차산업이 섣불리 전기차 투자를 느슨하게 해서는 안될 이유가 된다. 보고서는 “최근 국내 완성차업체가 전기차 모델을 다양화하고 있지만, 충전기와 네트워크 관리 측면에서는 경쟁력이 취약해 종합경쟁력이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조언했다.

이어 “미국과 유럽이 자율주행차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고, 일본과 유럽은 전기자동차산업에서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자율주행화와 함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와 배터리 전기차의 양산에 전략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12월 정부가 자동차부품산업 구조개선 방안을 발표하면서 2조원의 미래차 연구개발 자금지원을 밝힌 것과 관련해 “수요자인 자동차업계의 수용력이 부진할 경우 효과를 발휘하기는 어렵다”며 국내 협력업체들도 원가절감보다는 혁신역량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보고서는 또 “내연기관 자동차의 판매시장 다변화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선진시장의 변화에 순응할 수 있는 역량배양이 필요하다”며 “내연기관 기술도 중요하지만 전기동력·자율주행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한국 자동차산업의 미래는 담보할 수 없다”고 했다.

당장 국내외 세계 자동차산업이 불황기에 진입함으로써 국내 자동차산업의 어려움도 향후 1∼2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보고서는 “지난해 403만대로 하락한 국내 자동차 생산은 올해 400만대 선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정부가 개별소비세 30% 인하 기간을 6개월 연장해 올 상반기에는 내수가 유지되겠으나, 국내 완성차업체와 외국계 완성차업체의 수출 부진으로 인해 국내 생산은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산업연구원의 진단이다. 대외 리스크로는 ▷중국 정부의 전기자동차 의무판매제 ▷미국의 통상압력 향방 불투명 ▷유럽연합(EU)의 환경규제 강화 등이 지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