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부정맥 중 하나인 심방세동 진단 후 규칙적인 운동습관이 뇌졸중·심부전·사망 발생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심방세동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뇌졸중 발생 위험이 5~7배, 심부전은 2배, 사망은 1.5~3.5배 높기떄문에 합병증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와 생활습관 교정이 필수적이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팀과 숭실대 한경도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지난 2010~2016년에 새로 진단받은 심방세동 환자 6만6692명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운동습관 변화에 따라 ▲지속적 비운동자(30.5%) ▲신규 운동자(17.8%) ▲운동 중단자(17.4%) ▲운동 유지자(34.2%) 4그룹으로 나눠 비교해 약 4년간 이들의 뇌졸중, 심부전 및 사망 발생률을 추적한 결과, 신규 운동자 그룹과 운동 유지자 그룹은 지속적 비운동자 그룹보다 심부전 위험이 각각 5%, 8% 낮았다. 사망위험은 17~39% 낮았다.

운동 중단자는 17%, 신규 운동자는 18%, 운동 유지자는 39% 순이었다. 뇌졸중의 경우, 운동자 그룹에서 10~14% 위험도 감소 경향이 보이는 것으로 확인했다. 심방세동 환자에게 최적인 운동은 중등도 강도 운동인 빠르게 걷기, 보통 속도로 자전거 타기, 엎드려 걸레질하기 등을 1주일에 170~240분 하거나 고강도 운동인 달리기, 에어로빅, 등산 등을 1주일에 140~210분 할 경우 가장 큰 심혈관계 질환 및 사망 위험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의근 교수는 “이 결과를 토대로 심방세동을 진단받은 환자들에게 심박 수가 빨라질 수 있는 운동이 해롭지 않다는 것을 확실하게 말할 수 있게 됐다”라며 “운동을 시작하거나 지속하도록 권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