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노조 특근거부, 힘든 상황 놓여

7월 판매량 44.6% 감소…일부는 파업여파

협력업체들 “제발 살려달라” 호소문 발표

“年생산량 50만대 깨질 수 있다”…GM한국사업장 노조 파업 후폭풍 장기화 우려↑ [여車저車]
GM한국사업장 인천 부평 공장에서 근로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트레일블레이저와 트랙스를 글로벌 시장에 수출하고 있는 GM한국사업장의 파업으로 인한 생산차질이 8주만에 2만6000여대 수준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완성차업계에서는 “지난해부터 역대급 실적을 써가고 있는 상황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GM한국사업장은 올해 트레일블레이저와 트랙스 중심으로 연간 52만9000여 대의 생산목표를 세운 바 있다.

하지만 지난 7월과 8월 노조의 특근거부와 부분 파업으로 목표 달성이 힘든 상황에 놓인 것으로 전해졌다. 통상 휴가 시즌이 겹치는 7~8월은 공장의 생산목표도 평소보다 줄어들지만, 파업의 여파로 이러한 수치가 더욱 가파르게 감소하게 된 것이다.

GM한국사업장은 7월 한달간 내수 2199대, 해외 판매 2만365대로 전년 동월대비 44.6% 감소한 판매량을 보였는데, 일부는 임단협 교섭으로 인한 생산 손실이 미친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 8주간 생산 공백이 2만6000여 대인 점을 감안했을 때, 이달 실적에도 파업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더 나아가 GM한국사업장의 올해 생산량이 50만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의견도 나온다. 파업이 종료될 경우, 특근과 잔업을 활용해 생산량 일부는 복구되더라도, 2개월간의 영향을 모두 회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 노사 양측이 협상에서 진전을 거두지 못하면서 파업은 장기화될 국면을 보이고 있다. 노측은 앞서 진행한 강도높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직원들이 감수했던 어려움을 감안했을 때, 기본급 대폭 인상과 성과분배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사측은 이중 일부 요구안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한국GM노조는 앞서 지난달 1일 열린 4차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통해, 회사가 지시하는 잔업과 특근을 일제 거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틀 뒤인 3일에는 하루 근로시간 8시간 중 4시간의 조업을 거부하는 ‘부분파업’에도 돌입했다.

급기야 지난 22일 GM한국사업장에 부품을 납품하는 협력업체들은 “생존권을 보장해달라”는 내용의 호소문을 발표했다. 협력업체들의 단체인 협신회는 호소문을 통해서 “7월부터 시작된 파업으로 인해 한국지엠 협력업체들은 심각한 유동성 부족으로 직원들 급여와 회사의 최소한의 경영을 위해 자금을 확보하러 다니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많은 업체들이 기존 확보했던 유동성으로 버티다가도 현재는 한계에 다다랐다”고 하소연했다.

협력업체에 따라 많게는 50%, 적게는 10~20%씩 손실이 발생하면서, 일부 업주는 은행에서 받은 대출을 통해 사업을 유지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파업이 GM한국사업장의 부평과 창원 공장에서 동시에 진행되면서, 양쪽의 협력업체들이 모두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 GM한국사업장 협력업체들은 GM한국사업장이 국내 사업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도 함께 해왔던 업체들”이라면서 “트랙스와 트레일블레이저의 해외 수출이 늘면서, 이제서야 경영환경에 개선이 이뤄지는데 파업으로 영향을 받는 것은 아쉬운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국내완성차 업계 전반에도 이번 파업 장기화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자동차가 2분기 우리 전차 수출에서 차지한 비중은 11.4%, 수출액은 195억달러로 업계는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내며 선전한 바 있다. 파업이 이어질 경우 이같은 수출호조도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경영계에서는 이러한 파장을 막기 위해 빠른 시일내에 사업 정상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장정우 한국경영자총협회 노사협력본부장은 “자동차 산업은 국제경쟁 뿐만 아니라 전기차 등 기술 변화의 폭도 큰 상황이라 파업으로 인한 생산 매출 차질은 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라면서 “다양한 원하청 생태계로 이루어진 자동차 산업 특성상 부분 파업이나 특근 거부로 인한 영향은 원청 뿐만 아니라 수 많은 하청기업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