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광호 경찰대 스마트치안지능센터장

‘마약 핫스팟’ 강남·이태원·홍대 도출

“범죄 데이터, 마약 단속에도 활용해야”

“빅데이터, 마약 근절 열쇠” 장광호 경찰대 스마트치안지능센터장[붙잡을 결심]
장광호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 스마트치안지능센터장 [본인 제공]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더 많은 범죄 데이터가 공개되고, 정교한 기술이 개발되면 마약 범죄 근절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장광호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 스마트치안지능센터장(경정)은 27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장 센터장은 최근 스마트치안플랫폼의 데이터를 활용해 경찰대학 졸업생(공정배 유현우 김민정 경위)과 연구한 논문 ‘마약 범죄의 대한 공간적 영향요인 분석-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를 통해 서울 시내 마약 범죄 ‘핫스팟’을 도출했다.

논문은 지난 2020년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서울에서 발생한 마약범죄 데이터를 활용해 ▷용산·강남·서초구 북부 지역 ▷홍대 일대 ▷영등포·구로·금천구 접점지대를 마약범죄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했다. 이들 지역은 단란주점이나 클럽 등 유흥업소와 관광숙박업소가 많이 분포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중에서도 논현·청담·압구정·신사동 등 부촌 지역과 역삼·삼성·서초동, 이태원2동과 한남동 등이 고위험 지역으로 도출됐다. 이밖에 구로·독산·대림 등 외국인이 밀집한 지역도 포함됐다.

장 센터장은 “소외된 빈곤지역에 집중된 외국의 마약범죄와 달리, 한국의 마약범죄는 부유한 번화가, 유흥가에서 발생하기 쉽다”고 말했다. 특히 클럽에선 마약범죄가 다른 장소보다 쉽게 용인돼, ‘마약 파티’ 등 환경에서 마약범죄가 하위문화 일환으로 학습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이 장 센터장의 분석이다.

장 센터장은 10여년 전 경기 지역 경찰서에서 형사반장으로 마약범죄를 직접 다루기도 했다. 그러나 그 사이 마약범죄 심각성은 비교할 수 없이 높아졌다. 장 센터장은 “당시에는 마약 중개상, 밀수꾼에 대한 단속을 주로 해왔는데, 지금은 유흥업소나 숙박업소에서 마약을 하고 이있다는 첩보가 더욱 일상적인 일이 되었을 정도로 마약 범죄가 확산됐다”고 말했다.

이후 그는 경찰청, 서울경찰청 등 수사부서에서 주로 정책 기획을 맡으며 ‘범죄 데이터’에 관심을 갖게 됐다. 장 센터장은 “범죄를 데이터로 분석해 해법을 찾는 일에 흥미를 가지게 됐다”며 “현재는 보이스피싱을 비롯한 신종 범죄를 데이터 기술로 대응하는 과제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약 범죄의 대한 공간적 영향요인 분석’ 논문에 참여한 (왼쪽부터) 공정배 서울 성동경찰서 경위, 김민정 안양만안경찰서 경위, 유현우 서울경찰청 경위.

장 센터장은 마약 범죄 역시 경찰이 수집하는 데이터를 보다 고도화한다면 단속 및 예방에 실효성을 거둘 수 있다고 봤다. 그는 “이번 연구에선 동 단위로 발생 지역을 좁혔지만, 50m 단위의 거리 블록 단위로 (마약 범죄 빈발 지역을) 분석하고, 마약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찾을 수 있다면 폐쇄회로(CC)TV를 늘리거나 순찰을 강화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경찰이 보유한 데이터로는 현재로선 범죄 예방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장 센터장은 “현재로선 경찰이 공개하고 있는 데이터 단위가 너무 커서, AI 개발을 하기엔 활용이 활발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장 센터장은 “경찰은 국민 곁에서 24시간 365일 움직이고 데이터를 기록한다”며 “경찰의 특수한 업무를 이해하는 기반 인공지능(AI)을 개발해 데이터를 분석해 안내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위험 징후를 파악하고 경찰이 스마트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동료들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