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지지율, 한 달가량 횡보하거나 소폭 상승

野, ‘노인 폄하’ 등 악재·국정 발목 이미지도

흉기 난동 초강경 대응 지시에 지지율 상승

위기로 지지층 결집·공고한 진영화도 원인

‘악재’에도 콘크리트 尹지지율…‘野 실책’·‘불법 엄정 대응’ 덕봤다 [용산실록]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0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유엔사 주요 직위자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상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각종 악재에도 불구하고 횡보하거나 오히려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야당의 실책에 대한 반사효과와 불법에 대한 엄정 대응 기조 등을 이유로 진단했다.

11일 복수의 여론조사 기관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지난 7월 2주 차부터 한 달가량 30%대 초·중반대에서 횡보하고 있다.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지난 7월 2주차 조사에서 32%로 나타난 이후 8월 1주 차 조사까지 33%→35%→33%의 완만한 곡선을 그렸다.(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P)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 조사에서는 7월 3주 차 36.6%를 기록한 후 37.3%→37.5%로 2주 연속 소폭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다.(95% 신뢰수준, 표본오차 ±1.9%P)

‘악재’에도 콘크리트 尹지지율…‘野 실책’·‘불법 엄정 대응’ 덕봤다 [용산실록]
[리얼미터 제공]

전문가들은 ‘양평 고속도로’, ‘장모 구속’, ‘집중 호우’, ‘잼버리’ 등 윤 대통령에게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각종 논란이 불거졌던 해당 기간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하지 않은 것에 대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실책, 위기 의식으로 인한 지지층 결집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특히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 기각’, ‘노인 폄하 논란’ 등 민주당의 실책으로 평가되는 사건들은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횡보했던 기간과 맞물려 일어나기도 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야당이 실수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국정에 협조를 안 해주는 것”이라며 “야당이 무조건 반대하는 것이 윤석열 정부가 비호감도도 높고 인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지율이 뒷받침되는 근거 중 하나라고 본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국정 발목’ 이미지가 점차 쌓이면서 오히려 윤 대통령이 그 반사이익을 누린다는 것이다.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는 “일단 민주당이 지금 워낙 당내 악재가 많다”며 “그런 점과 함께 대통령의 실정이 많이 눈에 띄니 오히려 60대 이상의 지지층들이 위기의식으로 결집하는 양상도 있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또한 최근 발생한 무차별 흉기 난동 등 불법에 대한 강력한 대응 기조를 보인 점도 윤 대통령의 긍정 평가에 기여했을 거란 분석도 나온다.

‘악재’에도 콘크리트 尹지지율…‘野 실책’·‘불법 엄정 대응’ 덕봤다 [용산실록]
[한국갤럽 제공]

실제 리얼미터의 8월 1주 차 조사에선 잼버리 논란과 ‘서현역 흉기 난동 사건’이 발생이 포함된 지난 1~3일까지는 긍정 평가 지표가 계속 떨어졌지만(37.7%→36.4%→35.9%), 윤 대통령이 대응에 나선 지난 4일에는 2.5%포인트(P)가 상승(38.4%)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여름휴가 중임에도 ‘서현역 흉기 난동 사건’과 관련해 “국민이 불안하지 않도록 정부는 경찰력을 총동원해 초강경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최 교수는 “국민들이 워낙 불안해하니 경찰이 너무 나약하게 하면 안 된다, 강경하게 대응하라(고 지시한) 이런 점은 보수 진보의 문제가 아니고 긍정적인 면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윤 대통령의 30%대 지지율 유지 현상이 어느 한쪽의 잘못이나 득점이 아닌 ‘공고한 진영화’에 따른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진영이 너무 양극화가 되다 보니 그 진영에 속한 사람들은 전혀 흔들리지 않는 것”이라며 “사실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나 국민의힘 지지율이 큰 차이가 없이 비슷하다. 그 얘기는 결국은 진영이 네거티브에도 잘 흔들리지 않는다는 분석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각 조사 기관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