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주총 시즌 앞두고 전자투표제 도입 활발

작년 상장사 85%→올해 90% 돌파 충분

“코로나 규제 풀렸는데…” 기업 10곳 중 9곳 ‘주총 전자투표’ 도입 전망 [비즈360]
지난해 3월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삼성전자 제53기 정기 주주총회’.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이 인사말을 하는 모습 [삼성전자 제공]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올해 주주총회에서도 전자투표제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잇따르고 있다. 정부의 코로나19 규제가 대부분 풀렸지만, 여전히 전자투표제가 주총의 주요 소통 창구로 비중 있게 활용되는 모습이다.

업계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1~23일 기준 코스피 상장사 중 15곳이 이번 주총에서 전자투표제 도입을 확정했다.

재계 서열 17위 LS그룹의 지주사인 LS는 지난 15일 이사회를 열고 “의결권 행사에 있어 주주 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전자투표제를 도입하고 시행하기로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LS 이외에도 LX홀딩스·삼양홀딩스를 비롯해 카카오페이·DL이앤씨·한화시스템·현대비엔지스틸·롯데정보통신·롯데렌탈·광동제약·한세실업 등 주요 기업들이 전자투표제 도입을 확정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상장사 중에서는 제놀루션·지니너스 등이 전자투표제 신규 도입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국내 기업 대부분이 12월말을 결산기준으로 잡고, 이듬해 3월에 주총을 개최하기 때문에 전자투표제 도입 상장사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대부분 기업들은 결산기 종료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주총을 개최하도록 정관에서 정하고 있다.

전자투표제는 주주총회에 직접 출석하지 않고 PC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의결권을 행사하는 온라인 투표 제도를 말한다. 시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아 주총에 대한 참여율을 높이고 의결권을 간편하게 행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높다. 기업 입장에서도 이 제도를 도입할 경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측면에서 주주 친화적이라는 이미지 제고가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올해 주총 시즌에서 가장 주목받는 상장사 중 한 곳으로 꼽히는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달 26일 일찌감치 전자투표제를 확정했다. 회사 측은 “소액주주가 참여하는 첫 주총부터 전자투표제를 도입했다”면서 “주요 그룹사와 마찬가지로 주주 친화 행보를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LG그룹의 경우 지난 2020년 LG화학을 시작으로 전사적인 전자투표제 채택이 이뤄졌다. 같은 해 삼성전자도 전자투표제를 전격 도입한 바 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시기를 지나면서 전자투표제 도입 기업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자본시장연구원 조사 결과 2022년 전자투표제를 채택한 국내 기업 수는 2020년 1002곳에서 올해 1669곳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전체 상장사 가운데 85% 정도로, 올해 도입사까지 포함하면 전체 상장자 10곳 가운데 9곳이 전자투표를 채택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다만 전자투표제 정착을 위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업의 분할, 합병 등 특별결의가 필요한 주총 안건일 경우 전자투표제 의무 조항은 따로 없다. 여기에 전자투표제를 도입했다고 해도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주총을 개최해야 하는 등 제약이 여전하다는 것이다.

또한 상법(상법제368조4) 및 시행령에 따라 전자투표권은 주주총회 전날까지만 행사할 수 있다. 당일 투표는 오프라인으로 열리는 주총에 참석하지 않는 이상 법적효력을 갖지 못한다.

이 같은 업계 안팎의 지적과 관련 법무부는 당일 행사한 전자투표권의 법적효력을 인정하고, 주총 소집통지서를 우편뿐만 아니라 카카오톡이나 이메일 등으로 보내 주주들의 접근성을 확대하는 내용 등의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전자투표제 활성화로 주주의 기초적인 권리 행사인 주주총회 참여가 쉬워질 수 있고, 기업 입장에서도 장소대관이나 주주소집 우편 발송 등으로 인해 주총 개최 시 지출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면서도 “통신 장애 등 돌발 리스크에 대한 대처 등은 여전히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 규제 풀렸는데…” 기업 10곳 중 9곳 ‘주총 전자투표’ 도입 전망 [비즈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