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조정에도 내집 마련 문턱 여전히 높아
서울 3분위 평균 주택값 11억3000여만원
주택구매력지수, 서울선 소득 절반 대출로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올 들어 서울 주택시장이 조정 국면에 들어섰지만, 중산층이 중간가격대 집을 마련하기 위해 번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기간은 여전히 12년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생활비로 나가는 돈이나 이자 부담이 커진 대출 등을 고려하면 ‘내 집 마련’에 걸리는 기간은 통계상 찍힌 수치보다 더 길어질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서울의 ‘연소득 대비 주택구매가격 비율’(PIR)은 3분위 소득과 3분위 평균 주택가격 기준으로 12.4로 집계됐다.
PIR은 주택가격을 가구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서울 중산층(3분위 소득)이 중간가격대(3분위 평균 주택가격) 집을 마련하려면 연간소득을 12.4년간은 단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는 의미다.
해당 PIR은 지난해 4분기 13.4로 2012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집값이 소득 대비 빠른 속도로 오른 데 더해 부동산원이 주택통계 표본 수를 늘리는 과정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올 들어선 집값 조정과 함께 1분기 12.9, 2분기 12.4로 다소 낮아지긴 했지만, 2012년부터 지난해 2분기까지 한자릿수(7.5~9.5)에 머물렀던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치다.
PIR은 벌어들인 소득을 쓰지 않고 모은다는 걸 전제로 한 만큼, 생활비로 나가는 돈이나 대출 접근성 등을 고려하면 모은 돈만으로 내 집 마련을 하는 데는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부동산원은 3분위 평균 주택가격을 별도로 공개하진 않는데, 민간통계인 KB부동산 자료를 참고하면 지난 6월 종합 매매가격 기준으로 11억3162만원으로 조사됐다.
중산층의 대출상환 부담도 만만치 않은 수준이다. 올해 2분기 서울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 포함) 주택구매력지수(HAI)는 74.3으로, 역대 최저치였던 지난해 4분기(72.0)보다 살짝 높아지는데 그쳤다.
해당 지수는 중위가구의 소득을 대출상환 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중간소득인 가구가 금융기관 대출을 통해 중간가격대 주택을 사들인다고 가정, 대출 원리금 상환에 필요한 금액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대출금 상환에 필요한 소득을 벌고 있어 큰 무리 없이 주택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50보다 낮으면 소득의 절반 이상을 대출금 상환에 사용한다는 의미다.
서울 아파트 HAI는 올해 2분기 56.2로,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세 번째로 낮았다. 해당 HAI는 지난해 4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54.3→54.8→56.2)으로 50선에 머물면서 중위가구가 대출을 받아 서울 아파트를 샀을 때 소득의 절반가량을 대출상환에 쓴다는 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