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보다 지방 더 오를 것
유동성·공급부족 따른 상승 전망
매매보다 전세시장 더 불안정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내년에도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전셋값도 상승이 예상된다.
11일 주요 기관들에 따르면 2021년 부동산시장은 매매와 전세 모두 오름세가 우세하다. 다만 서울보다는 지방이, 고가보다는 중저가 아파트의 매매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서울 및 수도권 입주물량 감소로 인한 전세난과 전셋값 상승은 좀 더 이어질 전망이다.
상승 전망은 저금리로 인한 유동성 확대에다 입주물량 감소가 더해지면서 탄력을 받았다. 정부 정책 부작용도 한 원인으로 지목됐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내년 전국 매매 가격 2%, 전세 가격 4% 상승을 내다봤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매맷값은 0.5% 하락을 예상했지만 전셋값은 대한건설정책연구원보다 높은 5% 상승을 예상했다. 우리금융연구소도 전국의 집값이 1.04%로 소폭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도 내년 집값 및 전셋값 상승을 전망했다. 공급 부족 때문이다. 한은은 ‘11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이후 주택 매매 가격은 입주물량 감소, 전셋값 상승 등으로 오름세를 보일 것”이라며 “전셋값은 수급 불균형 우려가 해소될 때까지 오름세를 지속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실제 민간 부동산정보업체들이 집계한 아파트 입주물량은 올해보다 더 줄어든다. 직방에 따르면 올해 아파트 입주는 410개 단지, 총 27만996가구로 전년(33만6182가구) 대비 약 20% 감소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4만4586가구, 지방이 12만6410가구가 입주했다. 내년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22만7836가구로, 올해보다도 16% 줄어든다.
정책 부작용으로 상승을 내다보는 곳도 있다. 권주안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 서울 이외 지역 매매 가격이 불안정할 것”이라며 “정부 규제로 인한 풍선 효과로 비규제지역 가격 상승이 확산되고, 이로 인해 규제가 확대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단기적으로 매매 가격 하락세가 나타나더라도 주택 가격 상승으로 6억원 이하 주택이 사라지면서 주거 안정 저해뿐 아니라 계층 간 격차도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부도 이 같은 부동산시장 불안을 예상한 듯 경고에 나섰다. 다만, 시장 불안 요인을 공급 부족이 아닌 부동산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와 과잉 유동성에서 찾았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8일 “ 부동산시장 참가자들은 의사 결정 시 정부 대책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전 세계적으로 나타난 완화적 거시경제 정책 기조가 위기 이후 정상화될 가능성까지 감안해 냉철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위기 극복 과정에서 풀린 돈이 거둬들여질 때를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시장에서도 내년 하반기 유동성 감소에 따른 ‘상고하저’를 예상하는 목소리가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내년엔 서울보다 지방, 지방에서도 그간 상승 흐름에서 소외됐던 곳의 갭 메우기가 나타나면서 상승세가 좀 더 이어질 것”이라면서 “다만 현재 시장에 풍부한 유동성이 이르면 하반기에 (시장)금리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엔 줄어들 수 있어 부동산시장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yjsu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