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s financial system at risk over fast-growing household debt
서울 시내 한 은행에서 직원이 5만원권을 금고에 보관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김벼리 기자] 주요 은행의 수신금리 인하 속도가 빨라지며 ‘쥐꼬리’ 금리에 실망한 소비자들이 발길을 돌리고 있다. 금리 인하가 더 이뤄지기 전에 하루빨리 상품에 가입하려는 ‘막차’ 수요는 한 달 새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최근 비상계엄령 사태에 따라 미국 등으로 투자자금 이탈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그나마 자금을 모으던 은행마저 동력을 잃으며 ‘머니무브(자금이동)’ 현상이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예금금리 인하 속도↑…정기예금 2%대 진입 목전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11월 말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948조2201억원으로 한 달 새 6조2068억원(0.65%) 늘었다. 그러나 11월 중 증가폭은 10월 증가폭(11조5420억원)과 비교해 5조3352억원(46%)가량 감소하면서 규모가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적금도 마찬가지다. 5대 은행의 11월 정기적금 잔액은 39조5405억원으로 한 달 새 6229억원 늘었다. 그러나 10월(9102억원)과 비교해서는 31.5% 감소했다. 5대 은행 정기적금 증가액은 지난 4월부터 9월까지 매월 1조원을 넘어섰지만, 지난 10월을 기점으로 점차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은행 지점
서울 한 시중은행 영업점에서 고객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

올해 들어 예금금리 인하가 계속되는 가운데, 은행 예·적금에는 되레 자금이 쏠리기 시작했다. 기준금리 인하가 예견되며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리를 적용하려는 수요가 몰린 영향이다. 그러나 지난달을 기점으로 금리 인하 속도가 빨라지며, ‘막차’ 수요 또한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 10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약 3년 2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하(0.25%포인트)를 시행한 바 있다. 한은은 이어진 11월 금통위에서도 추가 기준금리 인하(0.25%포인트)를 결정했다. 이에 시장금리가 하락 추세를 이어가자, 은행들은 각종 예·적금 상품 금리를 하향 조정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최근 들어서도 이어지고 있다. 이날 기준 5대 은행의 주요 정기예금 상품 금리(1년 만기)는 3.2~3.22%로 불과 일주일 전인 11월 말(3.35~3.42%)와 비교해 상·하단 각각 0.2%포인트, 0.15%포인트 줄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1년 만기 예금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 금리는 5일 기준 2.92%로 한 달 만에 0.4%포인트 감소했다. 이번주 들어서는 2.8%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예금도 증시도 매력 없어” 美주식, 코인으로 자금 이탈

은행장 교체 러시에 ‘KPI 개선’ 수면 위로
서울 한 거리에 주요 시중은행의 ATM기기가 설치돼 있다.[헤럴드DB]

일각에서는 예·적금으로의 자금 쏠림 현상이 사그라들며, 국내 투자 수요가 미국 주식 등 해외로 이탈하는 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령을 발표한 뒤 국내 정세가 급속도로 불안정해지면서, 국내 증시는 연일 하락폭을 나타냈다. 6일에는 개인 투자자들의 투매가 이어지며 코스피 지수가 장중 2400선 아래로 내려가기도 했다.

반면 미국 주식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 대선 승리 이후 거센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1월에는 코스피 지수가 3.92% 오르는 동안 나스닥지수는 6.91% 상승했다. 비상계엄령 사태가 벌어진 직후부터는 이같은 탈동조화 현상이 더 거세지고 있다. 지난 4일과 5일, 이틀간 코스피는 2.32% 떨어졌다. 반면 한국 증시와 통상 흐름을 같이 하는 뉴욕증시 나스닥지수는 4일 0.4%, 5일 1.3%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미 자금 이탈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의 요구불예금 잔액은 592조6669억원으로 전월(613조3937억원)과 비교해 20조원 넘게 줄었다. 예금금리가 0%대에 수렴해 사실상 ‘무원가성 예금’으로 불리는 요구불예금은 여타 투자처의 수요에 따른 잔액 변동이 크다.

이런 상황에서 정기 예·적금까지 금리 인하로 수요가 떨어지며, 자금 이탈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한 시중은행 PB센터 관계자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고객들에 섣불리 국내 증시나 이를 바탕으로 한 파생상품에 가입하라고 할 수는 없는 처지”라며 “그나마 예금 등에는 꾸준히 투자 수요가 있었는데, 이제는 고객들도 코인이나 미국 주식, 금 등에 대한 관심이 현저히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머니뭐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