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
라돈 사태 당시 라돈이 검출된 침대 매트리스가 쌓여 있는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지난 2018년, 전국을 충격에 빠뜨린 사건이 발생했다. 침대 매트리스에서 1급 발암물질이자 방사성물질인 ‘라돈’이 다량 검출된 것.

산더미처럼 쌓인 라돈 검출 침대 매트리스에 소비자들은 불안감에 떨었고, 매일 몸을 맞대고 가장 오래 생활하는 침대에서 라돈이 나왔다는 데에 휴대용 라돈 측정기까지 인기를 끌 정도였다.

환기가 어렵고 침대 생활이 길어지는 겨울철이 되면서 ‘라돈 침대’의 불안감이 또 불거지고 있다. 이런 공포 심리를 없애줄 책임은 업체들에 있지만, 라돈 공포를 유발한 업체들은 여전히 대응에 소극적이다.

라돈에 안전하다는 국가 공식 인증을 전 제품에 받은 업체는 시몬스와 N32, 단 두 곳뿐이다. 다른 업체들은 일부 제품에만 인증을 받거나, 아예 인증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다른 업체들도 책임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라돈 안전 인증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라돈
리돈 침대 사태 당시 라돈이 검출된 침대 매트리스가 쌓여 있는 모습 [연합]

라돈 사태는 지난 2018년 대진침대가 만든 매트리스에서 라돈이 검출되면서 발생했다. 라돈은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로 사람 감각으론 감지할 수 없다.

공기보다 무거워 공기 순환이 어려운 곳에선 라돈이 축적될 수 있고, 축적된 라돈을 흡입하면 폐암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성장기 아이들에겐 치명적이다.

라돈 사태가 벌어진 후 소비자 우려를 반영, 한국표준협회(KSA)는 연세대학교 라돈안전센터와 함께 공동으로 국가 공인의 라돈 안전 평가모델을 개발, 라돈안전 인증제를 시행했다.

당시 업체들도 소비자의 불신을 감안, 경쟁적으로 인증을 받고 이를 홍보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하나둘씩 인증을 중단하기 시작했다. 템퍼는 2018년을 끝으로 라돈 인증을 중단했고, 에이스침대도 2022년부터 라돈 인증을 중단했다. 씰리는 자사 매트리스에서 라돈이 검출된 이력에도 불구, 일부 제품에서만 라돈 인증을 받고 있다. 전 제품에 라돈 안전 제품 인증을 받은 업체는 시몬스와 N32뿐이다.

안전인증
주요 침대 브랜드 라돈, 토론 안전 인증 현황 [자료출처 = KSA]

실내 활동 시간이 늘어나는 겨울철엔 특히 더 라돈에 민감하다. 최근 겨울을 앞두고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라돈 측정기 사용 후기가 늘고 있다. “공기질 측정에서 라돈 수치가 500(배크럴, Bq/㎥) 넘게 나와서 라돈이 나오는 자재를 급하게 찾는 중”, “주민센터에서 라돈 측정기를 빌려서 측정해 봤다”, “사람들이 몰라서 그렇지, 300배크럴 정도 나오는 집도 많다”는 등이다.

최근 누적 조회수 1600만회를 넘기며 화제를 낳은 N32의 ‘슬립 세이프티’ 캠페인도 라돈 등 환경호르몬 문제를 다루고 있다. ‘침대 안전’을 주제로 다룬 이 캠페인 영상은 “환경 호르몬은 플라스틱에서만 나오는 게 아니다. 당신의 침대에서도”, “라돈·토론 환경 호르몬 검출 없는 전 제품 안전인증” 등을 직접 언급하고 있다.

N32
[N32 캠페인 유튜브 영상 캡쳐]

캠페인 영상을 제작한 N32 측은 “그간 침대·가구 업계에서 좀처럼 다뤄지지 않았던 환경 문제를 오히려 집중 조명한 건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제품이 수명을 다한 후에도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주목해 보자는 차원”이라고 전했다.

침대 업계 때문에 만들어진 라돈 안전 인증에 정작 침대업계가 소극적인 건 결국 비용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라돈인증
라돈안전 제품 인증 마크

인증엔 심사비와 인증 사용료가 필요하고. 매년 인증을 갱신해야 한다. 업체로선 경제적으로도 부담이다. 그러다 보니 관심이 소홀해진 사이, 국가 공인 인증이 아닌 셀프 점검 등의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는 것.

문제는 객관적인 소비자 신뢰 여부다. 업체들은 자체 검사로 더 이상 침대에서 라돈이 나올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정작 소비자가 이 같은 자체 검사를 믿을 수 있는가다. 별도의 국가 공인 인증이 만들어졌던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당연히 소비자의 안전을 위해서라면 라돈 인증을 받아야 하지만, 실제 인증의 경우 모델마다 비용이 들어가고, 인증 또한 매년 갱신해야 하기 때문에 솔직히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조승연 연세대 라돈안전센터장은 “국가 공식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는다는 것은 제3의 기관을 통한 감시를 받는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에게 객관성을 증명할 수 있다”며 “자체검사로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제작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인증을 받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심지어 아직도 라돈 침대가 반 정도는 수거되지 않고 사용되고 있다”며 과거 수거된 라돈침대의 적절한 보관과 처리 및 처분에도 우려를 표했다.